뷰페이지

[서울광장] YS에게 응답하라/진경호 편집국 부국장

[서울광장] YS에게 응답하라/진경호 편집국 부국장

진경호 기자
진경호 기자
입력 2015-11-27 17:54
업데이트 2015-11-27 17: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진경호 부국장 겸 사회부장
진경호 부국장 겸 사회부장
작가 이청준은 장례를 축제라 했다. ‘산 자와 죽은 자가 마지막으로 만나 한스런 세월의 응어리를 씻어 내고, 남은 사람들끼리 서로 화해의 손길을 나누는 화합의 향연’이라고 했다.

그랬다. 그리 보였다. 김영삼(YS) 전 대통령이 영면의 길로 떠나던 지난 닷새, 나라는 잠시 잊고 지냈던 양김(김영삼·김대중) 정치의 추억에 잠겨 이런저런 씻김굿들을 펼쳤다. 축제였다. 서울대병원에 차려진 빈소엔 그를 따랐던 상도동계 인사들뿐 아니라 동지와 정적의 경계에 있던 동교동계 인사들이 줄을 이었다. YS가 감옥에 처넣었던 전두환 전 대통령도 빈소를 찾았고, 그와 함께 옥고를 치른 노태우 전 대통령은 아들을 보냈다. 많은 악수가 있었고, 위로와 격려가 나지막이 오갔다. 그런가 하면 SNS에선 그의 남달랐던 어록이 날개를 달기도 했다. “100만이 뭐꼬? 1000만은 돼야지. 누가 세리(세어)부나!”라는 말에 담긴 ‘역대급 스케일’과 “전두환은 대통령 아니데이. 죽어도 국립묘지 몬 간다”는 말이 내뿜는 단호한 결기에 그를 책으로만 접했던 젊은 세대는 환호했다.

이 며칠, 민심은 작지만 또렷하게 흔들렸다. 잊고 지내던 어릴 적 친구에게 걸려온 전화처럼 느닷없는 그의 부음에 어려웠던 시절 그가 있었다는 기억을 새삼 떠올리며 그와 그 시절을 되새김했다. 1980~90년대를 다시 불러내는 복고의 열풍 속에서 김 전 대통령은 그렇게 드라마가 아닌 논픽션의 추억을 선사했다. 기억의 조각들을 짜맞추며 많은 이들이 외환위기 앞에서 나라 경제를 망쳐 놓은 대통령은 뒤로 물리고, 목숨 건 투쟁 끝에 문민시대를 활짝 연 ‘이대한 대통령’을 가까이 끌어다 놓았다. 남의 머리만 빌려 쓰는 ‘무식한 대통령’이 아니라 인재를 알아보고 기꺼이 끌어다 쓸 줄 아는 열린 대통령, 전광석화와 같은 금융실명제 도입으로 정치권의 검은 돈줄을 끊은 개혁 대통령으로 다시 보기 시작했다. 정권 교체만 아니었어도 그에 대한 평가가 바닥을 기지는 않았을 거라는 얘기들도 꺼냈다.

과거를 희구하는 레트로의 흐름이 고달픈 현실에 대한 반동이라면, YS에 대한 달라진 시선, 아니 달리 보고자 하는 의지 또한 지금의 정치 아닌 정치에 대한 반동임이 분명하다. 삼포세대이든, 노후 살림을 걱정해야 하는 그들의 부모이든, 비정규직이든, 워킹맘이든, 영세자영업자이든 저마다의 시름에 허덕이는 이 땅의 장삼이사들이 지금의 정치에서 그 어떤 희망도 찾지 못해 지난 시절의 정치를 들척이며 애써 스스로를 위무하고 있는 것이다. 지역주의나 계파정치와 같은 부정적 유산보다는 민주화와 개혁이라는 YS의 성취를 더 높이 치고 그의 갖가지 에피소드에게서 인간적 면모를 찾아내 잔웃음을 짓는 것으로 가슴속 눈물을 닦아 내고 있는 것이다.

이제 축제는 끝났다. 민심이 어떠하든 여야는 다시 싸울 것이다. 김 전 대통령이 떠난 것 말고 이 나라 정치에 달라진 게 없는 까닭이다. 그가 유훈으로 낸 ‘통합과 화합’은 멀리 올려다볼 비전으로야 남겠으나 당장 팔을 걷어붙이고 실천에 옮길 행동강령으로 삼으려 하진 않을 것이다. 그러기엔 대립과 불통의 관성이 너무 강하고 내년 총선과 후년 대선에 걸린 이해득실이 너무나 크다. 정권 재창출과 정권 탈환만이 존재의 이유가 된 지금의 여야엔 이런 코앞의 이해 너머를 내다볼 시력 자체가 없는 까닭이다. 망자 앞에서 정치적 적자를 다투고, 당권을 놓고 1년 열두 달 드잡이를 벌이는 이들의 머릿속에 민생이 들어 있을 리 없는 까닭이다.

김 전 대통령의 영령 앞에서 드러난 민심의 신산한 떨림을 정치권은 눈 크게 뜨고 봐야 한다. 내일은 보이지 않고, 오늘은 보고 싶지가 않기에 어제만, 그것도 어제의 그나마 좋았던 모습들만 애써 떠올리며 힘겹게 버티고 있는 민심을 두려운 눈으로 봐야 한다. 왜 방송들이 저마다 ‘먹방’에 혈안이 돼 있고, 시청자들은 ‘응답하라 1997’ ‘응답하라 1994’도 모자라 ‘응답하라 1988’까지 소환해 가며 추억을 소비하는지 정치인들은 제대로 깨달아야 한다.

이청준의 말을 덧붙인다. ‘세상을 떠난 사자의 모습은 뒤에 남은 자손들과 그 자손들의 삶의 모습으로 남게 된다.’

정치를 한다면 이제라도 거산 김영삼 전 대통령에게 응답하라.

jade@seoul.co.kr
2015-11-28 23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