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국악, 이보다 더 새로울 수 없다

국악, 이보다 더 새로울 수 없다

홍지민 기자
홍지민 기자
입력 2015-11-22 17:32
업데이트 2015-11-22 19: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계 무대 안방처럼 누비는 밴드 ‘잠비나이’

“국내에서 반응은 올해부터인 것 같아요. 해외에서 이슈가 되며 국내에서도 주목받았죠. 지난 9월 부산 공연에선 호응이 남달라 깜짝 놀랐어요.”

이미지 확대
지난달 14~29일 다녀온 프랑스 투어에서 현지 관객과 호흡하고 있는 잠비나이. 해외에 나가 보면 어린아이부터 할아버지, 할머니까지 자신들의 연주를 스스럼없이 즐기는 모습을 자주 접한단다. 잠비나이 음악이 해외에선 록으로 분류되는데, 록이 메인스트림은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소비층이 탄탄하고 폭넓어 그런 것 같다고. 잠비나이 제공
지난달 14~29일 다녀온 프랑스 투어에서 현지 관객과 호흡하고 있는 잠비나이. 해외에 나가 보면 어린아이부터 할아버지, 할머니까지 자신들의 연주를 스스럼없이 즐기는 모습을 자주 접한단다. 잠비나이 음악이 해외에선 록으로 분류되는데, 록이 메인스트림은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소비층이 탄탄하고 폭넓어 그런 것 같다고.
잠비나이 제공
잠비나이는 세계 월드뮤직 시장에서 가장 ‘핫한’ 한국 밴드다. 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바쁘다. 지난해에만 14개국 38개 도시에서 50여회 공연을 펼쳤다. 음악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서고 싶은 워멕스와 워매드, 덴마크 로스킬데와 영국 글래스턴베리 페스티벌 무대 등을 줄줄이 섭렵했다. 올해도 투어는 쉼없이 이어졌다. 최근 약 20일간 프랑스·벨기에·네덜란드 3개국 8개 도시 투어를 다녀온 뒤 휴식을 취하고 있는 잠비나이를 만났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동기 3명이 뭉쳤다. 피리 연주자 겸 기타리스트인 이일우는 태평소, 생황까지 다룬다. 거문고 연주자인 심은용은 키보드와 실로폰, 트라이앵글도 연주한다. 해금을 켜는 김보미는 정주(밥사발 모양의 전통 타악기)까지 다룬다. 이들이 뿜어내는 것은 국악 그 이상의 새로운 음악이다. 어떤 때는 헤비 록, 어떤 때는 프리 재즈, 어떤 때는 국악처럼 경계를 넘나든다. 이일우는 “국악기로 현대 음악을 하는 밴드”라고 자신들을 정의했다. 장르를 떠나 시대에 맞고 자신들이 하고 싶고 또 듣고 싶은 새로운 음악을 하는 팀이라는 게 부연 설명. 음악성만 고집하는 것은 아니다. 2010년 셀프타이틀의 미니앨범은 가장 짧은 곡이 8분, 긴 곡이 17분에 달했고 난해함까지 똬리를 틀고 있었으나 2012년 정규 1집 ‘차연’에선 곡 길이도 대부분 4~5분으로 줄였고 드럼과 베이스 부분을 추가하며 대중에게 조금 더 다가섰다.

처음부터 해외 시장을 바라본 것도 아니었다. 유튜브에서 1집 머리곡 ‘소멸의 시간’의 뮤직비디오를 본 네덜란드 에이전시에서 먼저 연락을 해 왔다. 그렇게 올라간 첫 해외 무대가 2013년 5월 핀란드 월드 빌리지 페스티벌. 한 번 두 번 해외 무대에 오를 때마다 입소문이 쌓이며 세계를 안방처럼 누비게 됐다. 잠비나이는 그간 가장 기억에 남는 무대로 로스킬데를 꼽았다. “관객들이 우리 음악을 알고 찾아왔다는 것을 느꼈다. 놀랍고 신기하면서도 자신감과 책임감이 생겼다. 그 순간을 위해 달려왔다는 느낌이었다”는 게 김보미와 심은용의 이야기.

잠비나이는 올해 말 국내 인디 밴드들과 함께 이태원 언더스테이지 무대에 오른다. 해외 공연 일정은 2017년 1월까지 15개가 이미 잡혀 있다. 추가 러브콜도 속속 들어오는 중이다. 무엇보다 내년 상반기 정규 2집을 전 세계에 발매할 예정이다. 영국의 음반사인 벨라 유니언을 통해서다. 전 세계에서 주목받는 인디 록 아티스트들이 소속된 유력 레이블이라 잠비나이로서는 더 높이 날아오를 수 있는 날개를 달게 된 셈.

음악 외에 다른 것은 바라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까지 달려올 수 있었지만 국내 상황을 보면 아쉬움은 분명 있다. “모두들 좋은 음악을 가려낼 귀를 갖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들려줄 기회가 많지 않은 게 안타깝죠. 쉽지 않고 시간이 걸리겠지만 시장성을 좇기보다 시장을 만드는 역할을 하고 싶어요.”

참, 잠비나이. 순우리말 같은데 특정한 뜻은 없다고 한다. 자신들의 음악을 표현하기에 적당한 문자라고 생각했단다. 그 어떤 이름으로 불리더라도 장미는 여전히 향기롭다고 셰익스피어가 그랬던 것처럼.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5-11-23 22면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