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오늘의 눈] ‘통 큰’ 원순씨를 바란다/최여경 사회2부 차장

[오늘의 눈] ‘통 큰’ 원순씨를 바란다/최여경 사회2부 차장

최여경 기자
최여경 기자
입력 2015-11-10 23:04
업데이트 2015-11-11 0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최여경 사회2부 차장
최여경 사회2부 차장
음식이나 물건을 담는 ‘그릇’은 사람의 도량이나 능력을 뜻하기도 한다. ‘큰 그릇’이라고 하면 배포가 커서 굵직한 일을 할 수 있다는 말이고 ‘그 정도 그릇’이라고 한다면 딱 그만한 일 처리를 할 정도의 깜냥이겠다. 최근 박원순 서울시장의 행보를 보면 ‘서울시장 정도의 그릇’을 뛰어넘지 못하나 하는 안타까움이 생긴다. ‘업적’에 연연하다 좌절한 정치인의 모습도 겹쳐진다.

서울 브랜드를 바꾸겠다며 만든 ‘I.SEOUL.U’(아이.서울.유)나 논란을 부르는 서울역 고가 공원화의 일방통행식 정책 진행 과정을 보면 ‘간장 종지’가 떠오른다. ‘아이.서울.유’에 대해 더 말을 덧대고 싶지 않다. 지금껏 쓴 비용은 차치하자. 앞으로 들어갈 예산을 생각하면 가슴이 답답하다. 서울시는 홍보와 ‘하이서울’ 스티커 교체 등에 예산 15억원을 추산했다. 10일 서울시가 발표한 내년 예산이 27조원이 넘으니 새발의 피다. 하지만 서울시 자치구들의 현실을 따지면 작지 않은 돈이다. 2000만~3000만원짜리 인센티브 사업 하나 따려고 공모에 열 올리고 밤새 설명 자료를 만드는 자치구의 열악한 재정적 처지 말이다.

서울역 고가 공원화는 또 어떤가. 해외 연수 중이던 지난 1월 미국 뉴욕을 방문해 하이라인을 걸었다. 서울역 고가 공원의 모델로 내세운 시설이다. 뉴욕의 겨울치고는 비교적 따뜻했는데도 하이라인엔 걷는 이가 거의 없었다. 어쩌다 만나는 건 관광객이다. 주변에 촘촘히 붙은 건물들이 바람막이였지만 찬바람이 쌩했다. 혹한과 혹서가 분명한 서울에서 겨울엔 ‘황소바람’을 맞으면서, 한여름에는 땡볕 아래서 고가를 걷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미리 걱정이 앞선다. 빌딩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하이라인처럼 만들려면 서울역 고가에는 인위적으로 연결 통로를 만들어야 한다. 두 시설의 극명한 차이는 또 있다. 하이라인은 지역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만들었고 서울역 고가 공원은 반대하는 주민들이 많다. ‘공무원이 만들면 안 봐도 비디오’라는 자성적 광고로 시민 의견을 적극 듣겠다던 서울시가 서울역 고가 공원화 사업에서는 예외를 적용하는 건가.

더 큰 걱정은 안전이다. 3년 전 정밀안전진단에서 서울역 고가는 D등급을 받았다. 긴급 보수·보강과 사용 제한 등이 필요한 수준이다. 결국 새로 조성해야 한다는 의미다. 내년 예산에 232억원이 반영된 이유다.

박 시장은 지난 한 달 동안 ‘일자리 대장정’을 마무리하면서 “현장의 시민들과 절망, 희망을 함께하며 실질적인 정책을 발굴할 수 있었다”고 했다. 박 시장다운 말이다. 흔적 남기기용 정책이 아니라 소통하고 이해하고 필요한 곳에 손을 뻗는 것이다. 내년 교부금을 2862억원 늘려 각 자치구에 배분하는 결정이 자치구의 재정 숨통을 얼마나 틔우는지 아는가. 지자체 예산의 60% 이상을 복지에 써야 하는 구청장들은 “비로소 주민들과 약속한 사업을 할 수 있게 됐다”고 한다.

괜한 몽니로 시민을 지치게 한 ‘정치인 시장’과 확연히 달랐던 박 시장이 통 큰 스타일을 보여 줄 때다. 발표한 정책을 전환한다고 굴욕적인 후퇴가 될까. 문제를 인지하고 전환할 때 지지와 박수를 보내는 서울시민이 더 많을 것이다.

cyk@seoul.co.kr
2015-11-11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