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도시 공간’ 사진작가 박찬민 파인더에 담은 도시의 무미건조함

‘도시 공간’ 사진작가 박찬민 파인더에 담은 도시의 무미건조함

함혜리 기자
입력 2015-11-09 16:14
업데이트 2015-11-09 16: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층 빌딩이 빽빽이 들어서 있는 현대의 도시는 아름다움을 잃은 지 오래다. 개성 없고 무미건조한 외형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그 속에서 기계처럼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 또한 그 모습을 닮았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사람도, 건물도 익명성의 편리함에 익숙해 있는 차가운 도시의 단면을 건축물과 도시 공간 사진으로 재현해 주목받아 온 사진작가 박찬민(46)의 개인전이 서울 중구 서소문동 일우스페이스에서 열리고 있다. 한진그룹 산하 일우재단이 주관하는 제6회 일우사진상 ‘올해의 주목할 작가’ 전시부문 수상을 기념해 마련된 전시다.

 ‘공간의 포와’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2012년부터 아파트를 소재로 작업한 ‘블록스’(Blocks)와 도시 공간을 다룬 신작 ‘어번 스케이프’ 시리즈 등 50여점을 선보인다. 작가가 서울, 부산, 대구, 홍콩, 마카오 등지에서 찍은 도시 풍경들은 그야말로 삭막함과 모호함 그 자체다. 사람의 모습은 거의 등장하지 않고 정면이나 후면, 측면에서 바라본 건축물이 포함돼 있는 사진들은 장소와 시간의 구분이 무의미할 정도로 닮아 있다.

 ‘블록스’ 시리즈는 한국의 현대적 주거공간을 대표하는 공동 주거 형태인 아파트를 단순화해 형태와 표면적 구조를 강조한 작업이다.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곳이 창고나 컨테이너 같은 공간과 무엇이 다른지에 대한 의문을 제시하며 현대인의 획일화된 삶의 방식이 지닌 단면을 보여 준다. ‘어번스케이프’ 시리즈에서 작가는 도시의 일반적이며 보편적인 성향에 주목한다. 도시의 건축물에 의해 생겨난 선과 면을 통해 온기가 빠진 평면적 공간이 그대로 드러난다.

이미지 확대
 작가는 “고도로 압축된 현대의 도시 공간은 사람이 만들었지만 그 안에 사람이 갇혀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며 “도시인의 답답한 삶의 방식과 현대인의 삶의 지형도를 그대로 보여 주기 위해 대부분 사진은 해가 적절하게 건물을 비추는 낮시간에 최대한 정면에서 촬영하고, 보정 작업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예외적으로 아파트의 창문들은 지워 없앴다. 창문도 없이 공중을 향해 솟아 있는 고층 아파트들은 콘크리트 덩어리처럼 보인다. “기억할 수 있는 가장 어린 시절에 살던 곳도 아파트였다”는 작가는 “콘크리트 덩어리처럼 보이는 건물 모습에서 아파트에 살긴 했지만 이웃 간의 정이 남아 있었던 제 유년 시절을 떠올리기도 했다”고 말했다.

 일우재단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인 신수진 연세대 인지과학연구소 교수는 “작가는 고도로 압축된 공간을 정서적 중립이라는 시각에서 촬영했다”며 “어느 지점에서 현실을 바라보느냐에 따라 작가가 그 공간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알 수 있게 해 준다”고 말했다. 박찬민 작가는 대학에서 독문학을 공부한 뒤 중앙대 대학원에서 사진을, 에든버러대학에서 현대미술을 전공했다.

 함혜리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lotus@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