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커버스토리] 아군일까? 적군일까? 때려맞혀!

[커버스토리] 아군일까? 적군일까? 때려맞혀!

임일영 기자
입력 2015-10-23 23:46
업데이트 2015-10-24 01: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25 전사자 유해발굴의 ‘뼈아픈 진실’

“유해와 함께 북한 신분증이 발견됐는데 그냥 뒀습니다. 지금도 산속 어딘가에 있을 겁니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 간부는 ‘어차피 여기서 나오는 건 다 아군 아니냐’는 식으로 몰아갔습니다.”(2009년 경북 칠곡 유해발굴 참여 국유단 전역 A씨)

“중국군이 썼던 모신나강 소총탄과 ‘별모장’(중국 전투모에 붙이는 배지)이 나왔습니다. 현장에 있던 간부가 ‘제거해’라고 딱 한마디 하더군요. 두 가지 유품을 빼니 아군이 썼던 M1 소총 탄피만 남았습니다.”(2014년 칠곡 유해발굴 참여 국유단 전역 B씨)

이미지 확대
서울신문 취재팀이 2007년부터 최근까지 국유단의 6·25 유해 발굴 현장에 참여한 전직 감식관·전역병 등 30여명을 인터뷰한 결과 발굴 현장에서 적군 유품을 의도적으로 제외하거나 아군 유품과 바꿔치기하는 방식으로 국군 유해 숫자를 늘리기 위한 조작이 관행처럼 이뤄졌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000년 이후 발굴된 6·25 전사자 9800여구의 피아 판정에 오류가 있거나 국립현충원과 파주 적군묘지에 아군·적군이 뒤바뀐 채 묻혔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이들의 증언이다.

전직 국유단 감식관은 23일 “태생적으로 보여주기식 사업이었고, 아군을 많이 찾아야만 존재가 입증되는 구조”라며 “성과를 내야 한다는 압박이 있었던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박선주 충북대 명예교수(인류학)는 “성과를 내야 해서인지 서두르는 측면이 있었다”면서 “문화재 발굴하듯 해야 신뢰성이 높은데 기간을 정해 두고 몰아치니까 정보를 놓치는 경우가 많았다”고 밝혔다.

국유단 측은 “양심에 맡길 수밖에 없지만 (조직적인)유품 바꿔치기는 없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어 “2007년 (국유단 설립) 이전에는 우리가 하지 않았던 부분이고, 이후 자리를 잡으면서 실수나 잘못된 부분이 있었을 수 있다”면서도 “국군 전사자들을 모시기 위한 마음은 변함이 없다”고 덧붙였다.

현충원에 적군 유해가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미신원 확인 유해는 현충원에 2100여구, 국유단 유해보관소(국선재)에 6400여구가 있다. 국유단 출신 C씨는 “현충원 현충탑 무명용사실에 화장된 유해는 당연히 아군이어야 하는데 기록에 적군이라고 나온 걸 내가 본 것만 4구”라면서 “‘적군이 왜 이곳에 있냐’고 물었더니 간부들이 답을 못 했다”고 주장했다. 서울신문이 관련 기록 공개를 요구했지만 국유단 측은 이를 거부했다.

전문가들은 신원이 확인됐거나 100% 아군 유해로 확신할 수 있는 유해만 현충원에 봉안하고, 불확실한 경우에는 ‘6·25전쟁 합동전사자묘역’ 등을 만들어 안치해야 한다고 말한다. 북·미 사이에 간헐적으로 이뤄진 유해 송환을 남북한이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북한은 443구의 미군 유해를 미국에 인도했다. 국유단 관계자는 “북한 쪽에서 안 받겠다고 한 걸로 안다”고 말했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권은희 의원은 “‘그들을 조국 품으로’라는 부대훈 아래 활동하는 국유단이 성과주의에 매몰됐던 것은 아닌지 의문”이라면서 “현충원의 미신원 확인 유해의 유품·기록에 대한 전수조사 등 진상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15-10-24 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