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시론] 가뭄대책, 노후관 정비로 새는 물부터 줄여야/최승일 고려대 환경시스템공학과 교수

[시론] 가뭄대책, 노후관 정비로 새는 물부터 줄여야/최승일 고려대 환경시스템공학과 교수

입력 2015-10-19 17:56
업데이트 2015-10-20 13: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승일 고려대 환경시스템공학과 교수
최승일 고려대 환경시스템공학과 교수



가뭄에 목이 탄다. 상주·봉화 등 4개 마을 주민 487명은 병에 담은 수돗물과 급수차로 생활용수를 공급받고 있는 실정이다. 작은 산골 마을만의 문제가 아니다. 보령댐에서 생활용수를 받아 쓰던 보령·서산·당진 등 8개 시·군은 보령댐 저수율이 22%에 그치면서 지난 8일 제한급수를 시작했다. 보령댐은 댐 중앙을 제외하고 거의 바닥을 드러냈는데 내년 1월이면 그나마 남아 있는 물도 고갈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그래서 부여대교 임시취수장에서 21㎞의 관을 묻어 하루 11만 5000t의 금강 물을 보령댐에 공급하는 ‘보령댐 도수로’ 공사를 준비하고 있다. 상황이 시급하니 예비타당성 조사는 생략하고 환경영향평가와 문화재 지표 조사 등 17개 행정 절차를 동시에 처리하도록 했다. 당장 물 공급이 급하기에 도수로 공사가 불가피하겠지만 이미 많은 전문가들은 가뭄에 대비한 근본 대책으로 중소형 댐과 저수지 건설 필요성을 주장해 왔다.

댐과 저수지를 통해 ‘물그릇’을 확보하면 국가적으로도 엄청난 자산이 될 것이기에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소극적 태도를 버리고 댐 건설을 공론화해야 한다는 논리다. 2012년 가뭄 당시 정부는 2021년까지 3조원을 투입해 전국에 14개 중소형 댐을 만들겠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주민과 환경단체의 반발로 중단됐다.

가뭄의 근본적 원인은 강수량 부족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책은 다양하다. 보령댐 도수로뿐 아니라 최근 국회에서 제시한 4대강 물을 댐·저수지와 연계 운영하는 방안, 홍천과 같이 강우 시 더 많은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저수시설을 준설하는 방식 등이다. 댐과 저수지를 건설하는 방법도 있다.

우리나라는 1962년부터 1998년까지 운문댐, 영천댐 등 생활용수와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중·소규모 전용댐 16개를 건설했다. 보령댐도 여기에 속한다.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 따르면 16개 전용댐에서 1년간 공급하는 물의 양은 7억 6000만t에 달한다. 그런데 수도관이 노후돼 누수되는 물이 연간 6억 5000만t이다. 36년에 걸쳐 건설한 16개 중·소규모 댐에서 공급하는 양과 맞먹는 엄청난 물이 그대로 버려지는 것이다.

2009년 심한 가뭄으로 태백에서 제한급수를 실시해 주민들이 고통을 겪었는데 조사해 보니 수돗물이 거의 반은 새고 있었다. 강물도 한 방울이 아쉬운 마당이니 많은 에너지와 인력, 예산을 투입해 정수한 수돗물이 새는 것은 더 말할 나위 없이 아깝다.

땅속이 보이지 않는다고 모른 척해서 될 일이 아니다. 곳곳의 노후관을 정비해 새는 물이 없도록 해야 한다. 그래도 수돗물이 부족하다면 그때 저수지를 건설하는 것이 순서다. 노후관을 정비한다고 해서 저수지나 댐을 건설할 필요가 없다고는 할 수 없지만 누수를 줄이면 저수지 건설 규모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2009년 가뭄에 많은 고통을 겪은 영월·정선 등 강원 지역에서 한국환경공단이 노후관망 정비 사업을 추진한 결과는 의미가 있다. 매월 100만t의 물을 끌어들여 수돗물을 생산하던 정선군은 49만t, 영월의 물 생산량은 50만t에서 27만 5000t으로 감소했다. 노후관망 정비 사업으로 작은 시·군의 물 사용량이 반으로 줄었다. 보령댐에서 물을 공급받는 지역도 노후관망 정비가 이뤄졌다면 도수로 공사는 필요 없었을 수도 있다.

노후관망 정비는 가뭄에 대비한 근본적인 대책 중 하나이지만 동시에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된다. 서울시는 지난 25년간 3조 5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노후관망을 정비한 결과 최소 5조원 이상 경제적 이득을 창출했다. 1989년 서울의 유수율은 55% 남짓에 불과했지만 2012년에는 94% 이상이다. 노후관 정비 사업을 추진하지 않았다면 지금보다 두 배 많은 물을 한강과 팔당댐에서 끌어와야 했다. 가뭄 상황에서 한강에는 거의 물이 흐르지 못할 것이다. 이로 인해 수질이 악화되고 생태계 피해가 심해질 것도 명약관화하다.

또 노후관 정비로 수도 사업에 사용하는 전력 소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전기를 덜 쓰면 발전소 추가 건설 비용이 절약되고 환경오염 피해와 이산화탄소 발생을 줄이는 효과로 이어진다. 그 어떤 가뭄 대책보다 친환경적이고 사회기반시설을 건강하게 하는 노후관망 정비 사업을 이제 심각하게 검토해야 할 시기다.

2015-10-20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