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오늘의 눈] 역사교과서 국정화 오답노트의 재구성/장형우 사회부 기자

[오늘의 눈] 역사교과서 국정화 오답노트의 재구성/장형우 사회부 기자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5-10-09 23:04
업데이트 2015-10-09 23: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장형우 경제정책부 기자
장형우 경제정책부 기자
자신의 믿음을 상대에게 설득하되 강요해선 안 된다는 상대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하는 민주주의 사회 제도의 핵심은 다양성 보장이다. 다양성을 보장해야 하는 이유는 하나의 개인과 집단은 오판(誤判)을 할 수 있지만, 여러 개인과 집단의 생각이 공론의 장에 자유롭게 펼쳐진 가운데 토론을 통해 서로 충돌하고, 때로 타협함으로써 내려진 공동체 전체의 결정은 잘못될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인류사회는 제국주의와 전체주의로 인한 두 번의 세계대전과 이어진 냉전 등 값비싼 대가를 치른 뒤 이 평범한 원리를 깨달았다.

다양성 보장이 필수적인 영역은 학문과 교육이다. 19세기 최고의 수학자로 꼽히는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는 ‘직선 밖의 한 점을 지나 그 직선에 평행한 직선은 단 하나 존재한다’는 유클리드 기하학의 다섯째 공리를 부정함으로써 타원기하학과 쌍곡기하학의 기초를 세울 수 있었다. 오직 하나의 답만 존재할 것으로 여겨지는 수학에서조차도 다양성이 발전의 원동력이 되는데, ‘가치 있는 사실’을 ‘선택’하고 ‘해석’하여 과거를 재구성하는 역사학에서는 오죽할까.

한국은 일본의 역사왜곡을 비판하지만, 정작 일본은 2차 대전 패전 뒤 검인정 교과서 발행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극우파의 역사왜곡이 잘 먹혀들지 않는다. 또 청소년기에 다양한 관점의 역사를 배웠기 때문에 시오노 나나미는 ‘로마인 이야기’를, 다나카 요시키는 ‘은하영웅전설’을 쓸 수 있었다.

박근혜 대통령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앞장서 추진하는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의 과정에서 교육 주체인 교사와 학생, 학계 등은 배제돼 있다. 헌법이 정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과 자주성을 해치는 것이다. 하지만 이보다 위험한 것은 “학생들이 역사를 하나로 배워야 한다”는 도그마로 다양성을 말살하는 것이다. 교과서 내용에 문제가 있으면 교육부가 검정 과정에서 고치라고 지시하면 된다. 교과서에 문제가 있다고 국정으로 역사를 배우라는 것은 부정이 있다고 민주주의의 본질인 선거를 없애자는 것과 같다. 우연인지 모르겠지만 10월 유신으로 대통령 선거를 없앤 박정희 전 대통령이 해방 뒤 첫 국사교과서 국정화를 추진했던 장본인이다.

zangzak@seoul.co.kr
2015-10-10 10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