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아베, 새 문부상에 ‘군위안부 강제연행 부정’ 하세 발탁

아베, 새 문부상에 ‘군위안부 강제연행 부정’ 하세 발탁

입력 2015-10-07 14:06
업데이트 2015-10-07 16: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명 중 10명 교체했지만 재무·경제재생·외교·방위·관방 등 핵심자리 유임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7일 단행한 개각에서 군위안부 강제연행을 부정하는 입장을 밝혀온 하세 히로시(馳浩·54) 중의원을 교육장관인 문부과학상으로 기용했다.

이번 개각에서 전체 19명(아베 총리 제외) 중 10명의 각료가 교체됐지만 재무·외무·방위·경제재생상과 관방장관 등 국정운영의 중추 부처를 담당해온 핵심 각료들은 대거 자리를 지켰다.

따라서 이번 개각은 개헌 가도의 중대 관문인 내년 7월 참의원 선거 때까지 경제 중심으로 ‘안전운행식’ 국정운영을 하겠다는 아베 총리의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아베 총리는 이날 각의(국무회의)를 거쳐 새 내각(제3차 아베 개조 내각)의 각료 19명 명단을 확정했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회견을 통해 이를 발표했다.

프로레슬러 출신으로 참의원 1선, 중의원 6선인 하세 신임 문부과학상은 2009년 6월 국회에서 극우 성향으로 평가받는 지유샤(自由社) 역사 교과서를 높이 평가하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군위안부 강제연행을 부정하는 입장을 견지해온 그는 또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 담화를 “그대로 둘 것이냐”고 질문하고, 교과서 검정시 이웃국가를 배려토록 한 근린제국 조항를 “수정할 생각이 없느냐”고 물었다.

하세 신임 문부상이 과거에 내비친 인식에 비춰볼 때 아베 정권의 우익적 역사관을 반영하는 교육 정책에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시모무라 하쿠분(下村博文) 전 문부상은 독도 영유권 주장을 강화하고 일본의 침략 행위를 희석하는 내용의 교과서를 검정에서 통과시키는 등 아베 정권의 역사·영토 인식을 교육에 주입하는 역할을 했다.

또 신설된 ‘1억 총활약 담당상’에 아베 총리의 핵심 측근 중 한 명인 가토 가쓰노부(加藤勝信·59·중의원 5선) 관방부(副) 장관이 기용됐다.

더불어 ‘고노담화의 역할은 끝났다’는 등 수정주의적 역사관을 담은 발언으로 물의를 빚은 아베 총리의 최측근 하기우다 고이치(萩生田光一·52·중의원 4선) 자민당 총재 특별보좌는 관방 부(副)장관으로 중용돼 정부에 아베 측근이 보강됐다.

국토교통상에 이시이 게이치(石井啓一·57·중의원 8선) 중의원(공명당 정무조사회장), 농림수산상에 모리야마 히로시(森山裕·70·중의원 5선·참의원 1선) 중의원(자민당 TPP 대책위원장), 경제산업상에는 하야시 모토오(林幹雄·68·중의원 8선) 중의원이 각각 기용됐다.

부흥상에는 다카기 쓰요시(高木毅·59·중의원 6선) 중의원, 법무상에는 이와키 미쓰히데(岩城光英·65·참의원 3선) 참의원, 행정개혁담당상(국가공안위원장 겸임)에는 고노 다로(河野太郞·52·중의원 7선) 중의원이 발탁됐다.

여성 의원 가운데는 시마지리 아이코(島尻安伊子·50·참의원 2선) 참의원과 아나운서 출신인 마루카와 다마요(丸川珠代·44·참의원 2선) 참의원이 각각 오키나와·북방영토 담당상과 환경상으로 기용됐다.

아소 다로(麻生太郞·75) 부총리 겸 재무상,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58) 외무상, 나카타니 겐(中谷元·57) 방위상, 스가 요시히데(菅義偉·66) 관방장관, 아마리 아키라(甘利明·66) 경제재생담당상, 시오자키 야스히사(鹽崎恭久·64) 후생노동상, 이시바 시게루(石破茂·58) 지방창생담당상, 엔도 도시아키(遠藤利明·65) 올림픽 담당상, 다카이치 사나에(高市早苗·54) 총무상 등 9명은 유임됐다.

새 내각 진용에서 각료 경험이 없는 첫 입각자가 9명, 각료 경험이 있는 신규 입각자가 1명, 유임자가 9명으로 각각 정리됐다. 여성 각료는 종전과 같은 3명이다.

아베 총리는 이날 개각에 앞서 단행한 집권 자민당 간부 인사에서 부총재·간사장·정무조사회장·총무회장·선거대책위원장 등 핵심 다섯 자리에 현직 인사를 유임시켰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