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오늘의 눈] 쓸 돈이 없으면 소비도 없다/김진아 산업부 기자

[오늘의 눈] 쓸 돈이 없으면 소비도 없다/김진아 산업부 기자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15-10-06 18:14
업데이트 2015-10-06 19: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진아 산업부 기자
김진아 산업부 기자
불황이면 더욱 주목받는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시장보다는 정부의 역할에 주목했다. 경제가 어려울 때 유효 수요를 늘려야 하고 정부가 적극적으로 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얘기다. 사람들이 소비를 많이 하면 기업은 그만큼 제품을 많이 만들어 내는 등 생산을 늘릴 테고 경기는 살아난다. 불황일 때는 고소득층이 값비싼 물건 하나를 사는 것보다 중산층들이 많은 물건을 사는 게 불황을 벗어나는 데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의미다.

정부는 요즘 이 이론에 꽂힌 듯하다. 현재 정부가 적극 나서 만든 소비 정책은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코리아 그랜드세일’ 등이 있다. 이름과 행사 개시 시점만 다르지 별 차이 없는 정부 주도 대규모 소비 행사다.

행사의 초반 성적은 괜찮은 편이다. 블랙프라이데이가 시작된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롯데백화점의 전체 매출은 지난해보다 23.6% 늘었다. 현대백화점은 같은 기간 27.6%, 신세계백화점은 36.7% 각각 전년 대비 매출이 늘었다.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로 예상치 못한 타격을 입었던 백화점 업계로서는 오랜만에 보는 두 자릿수대 매출 실적이다.

문제는 정부 주도의 소비 정책이 계속 효과를 낼 수 있을지다.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행사 기간이 중국인 관광객(유커)이 대거 한국을 찾는 국경절과 맞물려 ‘큰손’ 유커들이 많이 소비해 준 탓에 초반 성적이 좋았던 측면도 있다. 정부의 압박에 가을 정기 세일을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로 돌린 유통업계는 제조업체의 가격을 깎지 못하는 대신 자신들에게 떨어지는 마진을 줄이는 방식으로 정부 정책에 따르고 있다. 앞으로 유커가 얼마나 더 지갑을 열지, 유통업체가 얼마나 안 받고 버틸지는 알 수 없다.

가장 중요한 소비 주체들은 어떤가. 국내 소비 하류층은 돈 쓰는 일이 쉽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소비자원이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소비양극화지수는 167로 1994년 관련 조사를 처음 시작한 이래 2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지수는 소비 상류층 대비 소비 하류층 비율을 수치화한 것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소비생활의 양극화 정도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유는 쓸 수 있는 돈이 없어서다.

올해 상반기 국내 은행 가계대출 규모는 33조 8000억원으로 지난 한 해 규모(39조 1000억원)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셋값이 오르니 빚 내서 집을 샀고 대출금 갚기도 어려운데 빚 내서 소비할 여유는 없는 셈이다.

경기가 돌아가기 위해 소비와 생산이 순환해야 하는 기본 원칙은 당연하고 이를 위해 정부가 정책을 만드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만 소비자는 정부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똑똑하다. 저렴하게 구입하기 위해 할인 폭이 훨씬 큰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 직구(직접구매)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더 많다. 정부가 시장을 압박해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를 정례화하는 게 불황 타개책이라고 생각하는 건 곤란하다.

지금 필요한 건 고용 같은 소득이 늘어날 대책이다. 쓸 돈이 없으면 소비도 없다.

jin@seoul.co.kr
2015-10-07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