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성년을 맞은 부산국제영화제(BIFF)는 아시아 영화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는 자리였다. 아시아 영화의 지형도를 보여 주는 ‘아시아 영화 100’을 선정했고 아시아의 대표 거장 감독들이 대거 부산을 찾았다. 대표적인 이가 대만의 뉴웨이브 운동을 주도한 거장 허우샤오셴 감독과 중국의 6세대를 대표하는 자장커 감독이다. 이들의 작품인 ‘비정성시’와 ‘스틸 라이프’는 각각 아시아 영화 100 중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허우샤오셴 감독<br>연합뉴스
■‘자객 섭은낭’ 의 허우샤오셴 감독, ‘비극에 눈감지마라, 감독이라면’


거장들의 신작을 소개하는 갈라 프레젠테이션에 8년 만의 신작 ‘자객 섭은낭’을 들고 부산을 찾은 허우샤오셴(68) 감독은 부산국제영화제 20주년을 맞는 의미를 묻자 이내 상념에 잠겼다. “처음 부산영화제 개막식에 왔을 때 헬리콥터를 타고 공항에 내렸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부산영화제는 아시아에서 영향력 있는 영화제의 역할을 충분히 해내고 있고, 한 영화제가 20년 동안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영화를 뒷받침하고 응원한다는 것은 가치가 있죠. 정치적인 요소가 영화제에 개입하는 일은 어느 나라에나 있기 때문에 최근에 발생한 잡음도 나타날 수밖에 없는 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는 ‘아시아 영화 100’에 선정된 ‘비정성시’(1990)를 ‘내 인생의 전환점이 된 영화’라고 소개했다. “당시만 해도 백색테러(우익에 의한 테러) 사건은 금기의 소재여서 대만 정부의 압박이 상당히 심했죠. 아마 ‘비정성시’가 국제영화제에서 상을 받지 못했다면 대만에서 상영되지 못했을 것이고 그 뒤로 제가 찍은 수많은 작품이 존재하지 않았겠죠. 이후 대만의 역사와 연루된 사건들로 소재의 폭을 넓히게 됐으니까요.”

그는 여전히 새로운 스타일의 영화를 추구하고 있다. ‘자객 섭은낭’에서 그는 기존 무협영화의 틀을 깨는 새로운 영화 미학과 독특한 해석을 선보였다. 그는 “보통 무협영화는 무술 실력을 강조하느라 중력을 거스르는 비현실적인 모습을 보이기 마련이지만 장검이 아닌 단검을 사용해서 현실적인 무협영화를 만들고 싶었다”고 강조했다. ‘자객 섭은낭’은 지난 6월 칸국제영화제에서 감독상을 받았다.

그는 영화감독으로서의 철학을 묻자 지식인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했다.

“영화는 돈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흥행을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지만 감독이라면 자신의 영화를 통해 관객들이 무엇을 보게 되는지를 잘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익숙한 곳에서 일어나는 비극적인 일들, 피하고 싶지만 알아야 할 일들을 바라볼 수 있는 눈이 중요하죠.”

부산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자장커 감독<br>연합뉴스
■‘산하고인’의 자장커 감독, ‘혼란에 눈감지마라, 당연한 거니까’


중국을 대표하는 젊은 거장으로 꼽히는 자장커(45) 감독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중국의 현재와 미래를 보여 주는 독특한 스타일의 영화 ‘산하고인’을 들고 부산을 찾았다.

그는 날카로운 주제 의식으로 동시대 중국 사회의 이면을 사실적이고도 비판적으로 그려 왔다. ‘산하고인´에서는 세 남녀의 이야기를 통해 1999, 2014, 2025년을 넘나들며 총 26년의 세월을 그린다. 그는 1999년을 영화의 시작점으로 잡은 이유에 대해 “중국에서 매우 독특한 시기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1999년은 중국 경제가 가속적으로 발전한 시대였습니다. 휴대전화와 인터넷이 급속도로 보급되면서 개인의 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쳤고 그런 것들이 감정적인 부분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죠. 영화에서 26년의 시간을 그린 이유는 세월에 따른 인물의 변화를 보여 주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베이징영화학교를 졸업한 뒤 1998년 ‘소무’로 영화계에 데뷔한 그는 2006년 ‘스틸 라이프’로 베니스국제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수상했고 올해 칸국제영화제 감독주간에서 황금마차상을 받았다.

이번 ‘산하고인’에서는 그의 변화가 두드러진다. 처음으로 미래 장면이 나오는가 하면 팝송 ‘고 웨스트’를 비롯한 여러 음악이 등장하고 객관적으로 멀리서 인물을 바라보는 방식도 클로즈업으로 미세하게 인물들의 감정선을 살리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시나리오를 쓸 때 리듬감을 참고했어요. 사람들은 평소 몸 안에서 혈액이 흐르고 있다는 것을 전혀 느끼지 못하지만 슬플 때는 손과 발이 차가워진다는 것을 느낄 수 있죠. 예전에는 감정을 억누르는 시도를 했다면 이번 작품에서는 폭발할 때는 폭발시키는 등 다양한 변화를 주고 싶었어요.”

아내이자 영화의 주연배우인 자오 타오와 함께 영화제에 참석한 그는 한국 관객들과의 만남에도 기대감을 표했다. “며칠 전 한국 수입사와 영화에 대한 이야기가 잘됐어요. 이번 영화가 한국에서 정식으로 상영돼 많은 한국 관객과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부산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