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015 불륜 리포트] 불륜 하면 떠오르는 단어 ‘의심’ ‘처벌’ 간통죄 폐지 후엔 ‘헌법’ ‘이혼’ ‘청구’

[2015 불륜 리포트] 불륜 하면 떠오르는 단어 ‘의심’ ‘처벌’ 간통죄 폐지 후엔 ‘헌법’ ‘이혼’ ‘청구’

유대근 기자
입력 2015-09-20 17:48
업데이트 2015-09-20 19: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1년 SNS·포털 버즈량 분석

온라인상에서는 불륜을 두고 어떤 이야기들이 오갈까. 네티즌들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블로그 등에 남긴 생각의 흔적들을 모아 보면 기혼 남녀가 어떤 시각으로 외도를 바라보는지 읽을 수 있다.

이미지 확대
강은숙 서울가정법원 가사상담위원이 지난 17일 경기 고양시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에서 모래상자 꾸미기를 통해 내담자의 심리 상태를 살피고 있다. 법원 가사상담실에서는 이혼으로 상처 입은 배우자와 자녀들의 심리 상담을 돕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강은숙 서울가정법원 가사상담위원이 지난 17일 경기 고양시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에서 모래상자 꾸미기를 통해 내담자의 심리 상태를 살피고 있다. 법원 가사상담실에서는 이혼으로 상처 입은 배우자와 자녀들의 심리 상담을 돕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서울신문은 20일 SK플래닛 광고 부문에 의뢰해 소셜미디어 분석도구인 ‘빈즈(Business INsight System) 2.0’으로 지난해 8월부터 올해 8월까지 최근 1년간 트위터 등 SNS, 포털사이트 네이버·다음의 블로그·카페, 뉴스 사이트 등 250여곳에 올라온 글을 전수 분석했다. 분석은 ‘간통’, ‘외도’, ‘불륜’ 등을 얘기할 때 함께 많이 언급된 단어의 ‘버즈량’(해당 단어가 등장한 온라인 글 수)을 측정해 의미를 살펴보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간통’과 관련된 네티즌들의 세부 관심은 간통죄 폐지를 기점으로 크게 바뀌었다. 간통죄 폐지 이후 6개월(2015년 2월 28일~8월 27일) 동안은 ‘폐지’(1만 5353건), ‘위헌’(9921건), ‘헌법’(5865건), ‘처벌’(3028건), ‘이혼’(2279건), ‘청구’(2116건) 등 단어가 주로 언급됐다.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 이후 변화된 불륜 대처법에 대한 정보를 묻거나 공유하는 글이 크게 늘었다는 분석이다. 앞서 간통죄 폐지 전 6개월(2014년 8월 26일~2015년 2월 24일) 동안은 ‘남편’(1만 3876건), ‘아내’(1만 1254건) 등 외도 대상을 거론하며 심리 상담을 청하거나 상담을 권하는 글들이 많았다. 또 ‘관계’(9285건), ‘로맨스’(7808건) 등 관념어를 사용하며 불륜에 대해 추상적으로 접근하는 경우도 눈에 띄었다.

간통죄 폐지 이후 ‘시장’(2743건), ‘수혜’(2732건), ‘주식’(2656건) 등 단어가 간통 등과 함께 언급된 것도 눈에 띈다. 죄목 폐지에 따른 수혜주 등 경제적 득실을 따져보는 이들이 많았다는 방증이다.

사람들의 머릿속에 ‘불륜’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여전히 음습하고 어두운 것이었다. 최근 1년간 간통, 외도 등을 주제로 얘기할 때 함께 많이 언급된 상위 40개 단어 가운데 긍정적 뉘앙스의 어휘는 ‘로맨스’, ‘사랑’ 등 일부뿐이었고 ‘부정’, ‘의심’, ‘처벌’ 등 부정적인 단어가 더 많았다.

유명인이 외도 의혹을 받으면 간통에 대한 네티즌들의 관심이 폭증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2일 터키 출신 방송인 에네스 카야의 불륜설이 돌자 SNS와 블로그, 뉴스 사이트에서는 간통, 불륜 등의 연관 단어 버즈량이 전날(697건)의 5.5배에 이르는 하루 3803건으로 치솟았다. 또 지난 8월 18일 한 인터넷매체가 방송인 겸 변호사인 강용석씨의 불륜 사실을 입증할 자료라며 여성 블로거 A씨와 주고받은 문자메시지, 수영장 사진 등을 공개하자 불륜 연관 단어 버즈량이 당일 1221건, 다음날 2776건으로 폭증했다. 하루 전인 17일의 연관 단어 버즈량이 777건이었던 걸 감안할 때 이틀 새 3.6배로 뛴 것이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5-09-21 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