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시론] 강물에 전통을 허하라/한무영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시론] 강물에 전통을 허하라/한무영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입력 2015-09-14 18:02
업데이트 2015-09-14 18: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물 분야의 노벨상으로 스웨덴 ‘스톡홀름 워터 프라이즈’라는 상을 꼽는다. 올해는 인도의 라잔드라 싱이 이 상을 받았다. 영국 식민지 시절 빗물을 버리는 방식의 개발로 계곡이 말라 농사를 못 짓던 인도의 시골 마을에 주민이 참여하는 빗물을 모으는 전통적인 방식을 도입한 덕분이다. 여러 개의 강을 되살리고, 1000여곳의 마을에 수자원을 복구해 생활수준을 향상시킨 공을 인정받았다. 지난 8월 말 열린 기념 세미나에 스웨덴 국왕 내외와 전 세계의 학자, 언론인이 참가해 물 문제 해결의 성공 사례를 축하했다.

이미지 확대
한무영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한무영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참석자들은 물 문제는 지역적이며, 해결책도 지역의 전통에서 찾아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각 지역의 전통들을 모으면 전 세계 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데 의견이 모였다. 이 행사에서 한국의 마을을 나타내는 동(洞=水+同)자에 담겨 있는 물 관리의 전통과 의미도 소개됐다.

동(洞)자를 파자(破字)하면 같은 물을 사용한다는 뜻으로, 물이 공동체 형성의 기본이라는 의미다. 물을 나타내는 수(水)가 먼저 나온 것은 마을을 계획하거나 관리할 때 물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뜻이다. 또한 개발 전후의 물 상태를 똑같이 해야 한다는 사회적 책임도 함께 담겨 있다. 동네에 내리는 빗물을 활용해 분산형의 빗물 관리를 하라는 선조의 지혜가 담겨 있는 것이다.

요즘 우리는 녹조, 홍수, 가뭄 등으로 강은 물론 시민들도 커다란 시련을 겪고 있다. 수천만 년 동안 흐르면서 문제도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최근 들어 인간의 활동으로 문제적 상황이 심화했으니 결자해지로 나서야 한다.

복잡한 문제인 것 같지만 해결 방법은 의외로 단순하다. 동(洞)자 철학을 이용하면 된다. 첨단기술에만 의존하지 말고, 상식 수준의 올바른 성찰이 먼저 필요하다. 녹조가 생기는 원인은 컵 안의 소금물로 비유할 수 있다. 물이 적을수록, 소금의 양이 많아질수록 짜지는 것처럼 강물의 양이 적거나 고여 있을수록, 오염원이 늘어날수록 녹조가 쉽게 발생한다. 정답은 물의 양을 늘리고 유속을 빠르게 하거나, 오염원을 줄이면 된다.

홍수는 하수도나 하천이 감당할 수 있는 양보다 큰 비가 내리면 발생한다. 도시 전역에 내리는 빗물을 한꺼번에 모아서 버리려니 그 시설이 커진다. 빗물을 다 버리고 나면 정작 가뭄에는 물이 없다. 수천억원짜리 홍수방지시설은 365일 중 보름도 사용하지 않는 고비용 저효율의 사례로 남고, 가뭄 때는 아무 도움도 못 준다. 수학능력 시험 당일 시차제 출근을 도입해 혼잡을 더는 것처럼 모은 빗물을 시차를 두고 흐르게 하면 큰돈 안 들이고 홍수와 가뭄을 줄일 수 있다.

결국 해결 방법은 빗물 관리다. 빗물을 버리는 도시에서 빗물을 모으는 도시로 바꾸어야 한다. 여기에는 두 가지 원칙만 지키면 된다. 첫째는 위에서 모으는 것이다. 높은 곳이나 상류 지역에 모으면 그 혜택은 아래쪽과 위쪽 모두에 돌아간다. 둘째는 강이나 하천 근처에 커다란 시설 한두 개 만들기보다는 전체 유역에서 작은 시설을 여러 개 만드는 것이다. 이 방법은 주민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조선시대 계획도시인 한양은 궁궐에 큰 연못을 만들었고, 성 내외에 논과 밭농사를 장려해 도시 전역에 빗물을 가두는 역할을 하게 만들었다. 한옥의 처마 밑에 떨어지는 물은 땅속으로 들어가게 했다. 한 방울의 빗방울도 인간에게 도움을 주지 않고 헛되이 바다로 흘러가게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선조들의 생각이었을 것이다. 모두 다 동(洞)자 철학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물론 서울과 같은 현대 도시에 논을 둘 수는 없다. 하지만 그러한 빗물 관리 철학을 바탕으로 첨단의 기술을 가미하면 된다.

최근 서울시는 물순환안전국을 새로 만들었다. 물순환의 기본은 빗물 관리다. 새 패러다임에 걸맞게 제도, 예산, 시설 등을 고치자. 매년 빗물 모으기의 정량적인 목표를 정하고, 시민은 그것의 실현 여부를 확인하면서 참여하면 저절로 기후변화에 대비한 안전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몇 년 후 서울시가 물의 노벨상을 받아 올 것을 꿈꾸어 본다. 동(洞)자 철학을 만든 우리 선조와 후손의 합작품이 될 것이다.
2015-09-15 3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