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시론] 기업의 역할을 다시 생각한다/조승민 글로벌입법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시론] 기업의 역할을 다시 생각한다/조승민 글로벌입법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입력 2015-08-31 18:08
업데이트 2015-08-31 18: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조승민 글로벌입법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조승민 글로벌입법정책연구원 연구위원
페이스북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인 마크 저커버그의 연봉이 1달러라고 해서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저커버그는 미국 증권거래소에 제출한 자료에 연봉을 1달러만 받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적었다. “우리는 돈을 벌기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돈을 벌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요즘 사람들은 단순히 이윤 극대화를 추구하는 기업보다는 그 이상을 요구하는 것 같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기업에 요구하는 것은 무엇일까. 미국의 아치 캐럴 교수는 기업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를 ‘사회적 기대’로 정의하면서 구체적으로 ‘경제적 기대’, ‘법률적 기대’, ‘윤리적 기대’, ‘자선적 기대’로 규정했다. 이를 근거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으로 분류하고 이 네 가지에 충실할 때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이라고 했다.

기업을 평가하는 우리 국민의 기준도 이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 등의 조사에 따르면 2014년 하반기 국내 기업에 대한 호감지수는 100점 만점에 44.7점으로 2005년 상반기 이후 가장 낮았다. 평가 항목 가운데 ‘윤리경영실천’과 ‘사회공헌활동’이 각각 21.9점과 39.7점으로, 국가경제 기여(46.0점), 생산성 향상(60.4점), 국제경쟁력(70.7점) 등에 비해 낮게 나왔다. 우리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지출 규모가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는 등 ‘자선적 책임’을 위한 노력이 커지고 있음에도 국민들은 여전히 기업의 역할이 미흡하다는 평가를 내린 셈이다. 기업의 사회 공헌이 비윤리적·탈법적 행위에 대한 국민 비판을 무마하는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이거나 보여 주기식 행사라는 인식이 많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제는 최근 기업 호감도 하락이 국가경제 기여, 생산성 향상, 국제경쟁력 부문에 대한 평가 하락과 관련이 크다는 점이다. 법률적, 윤리적, 자선적 책임에 대한 낮은 평가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책임’ 부문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으면서 보통(50점) 수준의 호감도를 유지해 왔지만 이제는 ‘경제적 책임’에 대한 평가마저도 하락하면서 총점이 보통 수준 이하로 내려간 것이다. 이는 최근 발생했던 롯데그룹 경영권 분쟁 사태에서 드러났듯 재벌들의 법률적·윤리적 책임에 대한 문제가 계속 반복되면서 이들이 경제적 책임조차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이 커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기업에 대한 국민 인식이 중요해진 것은 왜일까. 이제는 권력의 인정만으로 기업이 발전할 수 있는 시대가 아니기 때문이다. 자녀의 취업을 위한 권력자들의 부적절한 행위까지도 백일하에 드러나듯 권력과의 부적절한 유착은 금세 공개돼 더 큰 부메랑으로 돌아온다. 이제는 공개된 광장에서 ‘사회적 인정’을 받아야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이 보장되는 시대가 된 것이다. 빌 게이츠는 ‘창조적 자본주의’를 주창하면서 시장에 바탕을 둔 또 다른 인센티브로 ‘사회적 인정’을 언급했다. 일찍이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도 지속 가능한 경영을 하기 위한 과제로 ‘사회적 인정’을 꼽은 바 있다.

사회적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대에 부응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경제적 책임에서 자선적 책임에 이르기까지 사회적 책임에 충실해야 한다. 아울러 평소에 사회와 소통하며 사회의 동의를 얻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해선 안 된다.

롯데그룹은 이달 초 경영권 분쟁으로 비윤리적인 ‘황제 경영’이란 지탄을 받은 데 이어 국적 논란까지 일자 롯데의 투자와 고용, 그리고 매출이 대부분 한국에서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롯데는 한국에서 80여 계열사를 통해 10만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고, 한국 투자액은 지난해 5조 7000억원에 이어 올해도 7조 5000억원에 육박한다. 만약 롯데가 국민들 사이에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으로 인식되고 있었더라면, 혹은 자신들의 사회적 책임 성과를 내세울 수 있었더라면 불투명한 지배구조가 감정적인 국적 논란과 불매운동으로 비화되는 일은 막을 수 있었을 것이다.
2015-09-01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