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새집에서 단잠 못자는 ‘금리 심쿵族’

새집에서 단잠 못자는 ‘금리 심쿵族’

이유미 기자
입력 2015-08-31 23:48
업데이트 2015-09-01 02: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금리인상설 재점화… 신규 주택대출 10명중 9명 ‘변동 금리’

가계빚이 급증하기 시작한 지난해 10월 새로 빚을 낸 사람 10명 가운데 9명은 금리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9월 금리 인상설이 다시 고개를 들면서 가계빚 경고음도 커지고 있다. 금리가 오르게 되면 대출자의 이자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게다가 신규 대출자의 상당수가 이르면 내년, 늦어도 내후년부터는 이자뿐 아니라 원금도 갚아 나가야 해 부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


서울신문이 국민·하나·우리은행의 지난해 10월 서울 지역 신규 주택담보대출자 148명을 무작위 추출해 분석한 결과, 평균 대출액은 1억 4560만원이었다. 지난해 10월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두 번째 인하’가 단행된 시점이다. 한은은 그해 8월 오랜 동결 행진을 깨고 금리를 전격 인하했다. 정부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완화와 맞물려 돈 빌리기가 쉬워지고 이자까지 내려가자 이때부터 가계대출이 급증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신규 대출자의 절반 가까이(43.92%)가 변동금리를 선택했다. 일정 기간 고정금리 뒤 변동금리로 돌아서는 혼합형(46.62%)까지 포함하면 금리 위험 지대에 놓인 비중이 90%가 넘는다.

한은이 올해 내놓은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금리가 1% 포인트 오르면 위험가구 비율(2014년 3월 가계부채 기준)은 11.2%로 증가한다. 금융사의 위험부채 비율도 21.6%로 늘어나는 것으로 추산됐다. 우리나라의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164.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135%를 크게 웃돈다. 신성환 금융연구원장은 “가구당 가계빚이 임계점까지 차오른 상황이라 금리가 오르거나 집값이 떨어지면 파산 가구가 속출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5-09-01 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