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헌혈만 224번… 해군 안중근함 멋진 세 사나이

헌혈만 224번… 해군 안중근함 멋진 세 사나이

강윤혁 기자
강윤혁 기자
입력 2015-08-30 23:54
업데이트 2015-08-31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0번 넘게 피 뽑은 ‘헌혈유공 금장’ 승조원 3명째 배출

승조원이 40여명에 불과한 잠수함 한 척에서 헌혈을 50번 이상 해 헌혈유공 금장을 받는 잠수함 승조원이 3명이나 배출됐다.

이미지 확대
해군 안중근함(1800t급)의 안호기(가운데) 소령과 박성래(왼쪽) 상사, 이동백 상사가 지난 19일 경남 진해 잠수함사령부 부두에서 대한적십자사에서 받은 헌혈유공 금장을 든 채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해군 제공
해군 안중근함(1800t급)의 안호기(가운데) 소령과 박성래(왼쪽) 상사, 이동백 상사가 지난 19일 경남 진해 잠수함사령부 부두에서 대한적십자사에서 받은 헌혈유공 금장을 든 채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해군 제공
해군 잠수함사령부 소속 안중근함(214급·1800t급)에 근무하는 안호기(35·해사 58기) 소령과 이동백(36·부사관 185기) 상사, 박성래(37·부사관 175기) 상사가 주인공이다. 잠수함 승조원은 한번 출동을 나가면 20~30일을 바닷속에 머문다. 그렇게 체력적 부담이 큰 잠수함 근무를 하며 3명이 지금껏 헌혈한 횟수는 총 224회에 이른다.

안중근함의 무장관으로 근무하는 안 소령은 전혈(全血) 25회, 혈소판 헌혈 26회, 혈장 헌혈 64회 등 지금까지 모두 115회나 헌혈을 했다. 안 소령이 헌혈을 시작한 계기는 2000년 해군사관학교 1학년 동기였던 권형진(해사 58기) 생도가 급성 백혈병에 걸렸을 때부터였다. 안 소령은 30일 “결국 고인이 된 그 친구를 위해 해사 동기들이 헌혈을 했었다”고 말했다.

안 소령은 이후 한 달에 한 번씩 헌혈한다는 목표를 세웠다고 한다. 2005년부터 잠수함 승조원으로 근무한 안 소령은 10년 동안 출동이나 훈련, 해외출장을 제외하곤 매월 한 번씩 헌혈하겠다는 목표를 지켜 왔다.

안 소령은 “생도 시절 럭비를 해서 체력적으로는 건강하다”고 했다. 안 소령은 2007년 10월 헌혈유공 금장을 받고 2013년 8월 100회를 달성해 대한적십자사 ‘명예의 전당’에 등록됐다.

안중근함의 전기장비를 운용하는 전기사인 이 상사는 헌혈 59회 중 전혈만 40회에 이른다. 이 상사는 “전혈을 하면 2개월 동안은 다시 헌혈을 할 수 없다”며 “잠수함 승조원이 체력적으론 많이 힘들지만 쉴 때 헌혈에 참여하는 게 어려운 일은 아니다”라고 했다. 국내에 혈액이 부족해 외국에서 수입해야 된다는 소식을 듣고 헌혈을 시작했다는 이 상사는 “다른 승조원들에게도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헌혈을 장려한다”고 했다.

안중근함의 기관장비를 운용하는 추기사인 박 상사는 지난 19일 헌혈 50회를 달성해 적십자사에서 수여하는 헌혈 유공 금장을 받았다. 박 상사는 “항상 헌혈을 하면 헌혈증이 필요한 사람이 주변에 생긴다”며 “나는 지금 건강하지만 언젠간 나도 헌혈증이 필요한 일이 생기면 그런 도움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조혈모나 장기기증 신청도 해놨다”며 “앞으로도 꾸준하게 헌혈에 참여해 100회, 200회까지 열심히 할 생각”이라고 했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15-08-31 2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