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고] 국민 행복·국익 위한 예술인 복지/김주영 소설가·한국예술인복지재단 이사장

[기고] 국민 행복·국익 위한 예술인 복지/김주영 소설가·한국예술인복지재단 이사장

입력 2015-08-24 01:04
업데이트 2015-08-24 0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광복 70주년의 뜻깊은 해이다. 일제 식민지를 경험한 이들이라면 감회가 남다를 것이다. 일제 치하 경제주권 운동과 함께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문화예술을 통한 항일운동이다. 무릇 예술가들은 가난, 고통, 설움, 수치심, 울분, 열등감, 한(恨) 등 삼라만상의 감정을 토해 내 예술로 승화시킨다. 문학·미술·연극·영화·음악 등 모든 예술 장르를 통해서 그 나라의 역사, 이념,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등 시대적·사회적 담론을 촉발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과거를 반추하고, 오늘을 바르게 살아갈 동력을 얻으며, 미래의 방향성과 희망을 모색할 수 있게 해 준다. 이것이 예술의 기능이고 예술가의 역할이다.

이미지 확대
김주영 소설가·한국예술인복지재단 이사장
김주영 소설가·한국예술인복지재단 이사장
6·25 전후 격동의 시대를 거쳐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의 생활상이 예술가의 창작 열정을 통해 고스란히 보존된다. 일제강점기 민족감정을 대변한 것도, 민족정신을 고취시킨 것도 문화예술을 통해 분연히 일어선 예술가들이었다. 과거의 현재가 오늘날의 세계문화유산이 되고, 예술작품으로 재탄생한다. 그리고 그것은 케이팝과 순수예술의 한류로 이어져 한국 문화예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며, 외국인들이 다시 찾고 싶어지는 대한민국으로 만드는 자양분이 된다. 바로 여기에 예술의 가치가 있으며 국가 차원에서 ‘예술인 복지정책’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물론 고난과 가난은 예술가에게 있어 떠날 수 없는 분신 같은 존재일 것이다. 이것은 일제강점기 때 더욱 심했다. 경제적인 고통은 기본이요, 일제치하에서 오는 부조리한 억압과 탄압으로 정신적·신체적 고통이 더해질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한 가난, 억압, 울분, 한은 예술로 승화되었고 항일 민족정신을 발양시킨 ‘광야’, ‘님의 침묵’, ‘상록수’ 같은 문학작품들이 대거 탄생했다.

당대 수많은 대가(大家)들을 거론하지 않더라도 국가 차원의 ‘예술인 복지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논점은 달라지지 않는다. 내가 소설가의 길을 걷게 된 계기도 가난으로 인한 응어리에서 비롯되었다. 그것들을 토해 내는 방법으로 시를 쓰고, 소설을 집필하였다. 그렇게 탄생한 작품이 소설 ‘객주’였다. 스스로 밑바닥부터 시작해 오로지 작가로서의 열정 하나만으로 달려오다 보니, 문득 젊고 촉망받는 후배들을 위한 안정적인 예술 창작 환경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월급도 없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이사장직을 덜컥 맡은 건, 아마도 후배들에 대한 내리사랑에서 발로된 결정이었을 것이다.

올해 3년차를 맞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역할은 막중하고, 이번 정부의 국정기조 중 하나인 ‘문화융성’과 ‘경제부흥’을 위한 초석이 되리라고 희망한다. 다만, 예술인을 가난한 존재로 규정짓고 그 가난에 대해 구휼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의 가치와 대가를 정당하게 인정받아 예술인이 자립할 수 있는 사회적·제도적 기반 마련에 초점을 두는 지원이 필요하다.

정부는 광복 70주년 기념행사에 문화예술행사를 성공적으로 접목시켰다. 문화예술을 통한 최고의 국가홍보가 되었으리라고 생각한다. 국민 모두가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있다는 인식이 퍼지고, 그래서 예술의 가치를 노동의 가치로 정당하게 인정해 주는 사회가 되기를 희망해 본다.
2015-08-24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