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오늘의 눈] 축복받지 못한 돔구장의 탄생/임주형 체육부 기자

[오늘의 눈] 축복받지 못한 돔구장의 탄생/임주형 체육부 기자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15-08-16 18:06
업데이트 2015-08-16 20: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임주형 금융부 기자
임주형 금융부 기자
“세계 8대 불가사의다.” 1965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 세계 최초 돔구장인 ‘애스트로돔’이 개장하자 메이저리그 휴스턴 콜트 포티파이브스(현 애스트로스)의 로이 호프하인즈 구단주는 이런 감탄사를 날렸다. 당시 엄청난 금액인 3500만 달러가 투입된 애스트로돔은 야구는 물론 미식축구도 할 수 있는 다목적 경기장이었고 첨단 기술의 결정체였다. 땀을 뻘뻘 흘리며 모기 떼에 시달렸던 팬들은 천장이 막힌 쾌적한 구장에서 경기를 즐길 수 있게 됐다. 현재는 메이저리그 30개 구단 중 7개 구단이 돔구장을 소유하고 있다.

여름철 장마로 해마다 취소 경기가 속출한 일본 프로야구도 돔구장 건립에 나섰고, 1988년 도쿄돔이 개장했다. 최고 명문 요미우리의 홈인 도쿄돔은 ‘일본 야구의 심장’으로 자리잡았으며, 나고야돔·오사카돔·후쿠오카돔·세이부돔·삿포로돔이 차례로 건설됐다. 일본 프로야구 12개 구단 중 절반인 6개 구단이 돔구장에서 홈경기를 치른다.

우리나라에도 오는 10월 마침내 돔구장이 탄생한다. 2009년 2월 첫 삽을 뜬 서울 구로구 고척동돔구장(고척돔) 공사가 6년 8개월 만에 완공을 눈앞에 두고 있다. 1만 8092석의 중형급 구장으로 포수 뒤에서 극장식 의자에 앉아 경기를 볼 수 있는 다이아몬드 클럽석, 메이저리그에서 사용되는 흙 등 첨단 시설이 눈에 띈다.

3년가량 걸렸던 애스트로돔이나 도쿄돔과 달리 고척돔의 공사 기간이 길었던 것은 무려 여덟 차례나 설계가 변경됐기 때문이다. 2007년 기획 당시 고척돔은 지붕을 절반만 덮는 하프돔 형태였으나 2009년 풀돔으로 변경됐다. 이로 인해 408억원이었던 공사비가 2367억원으로 6배 가까이 뛰었다.

공정률 99%를 넘긴 고척돔은 최근 수려한 외관을 드러냈다. 그러나 국내 첫 돔구장 탄생에 대한 축하보다는 ‘애물단지가 될 것’이라는 걱정이 더 많다. 고척돔은 2008년 철거된 동대문구장의 대체 구장으로 아마를 위한 시설이었으나, 80억원을 넘길 것으로 보이는 연간 유지비 때문에 프로팀 이전이 추진되는 등 원래 취지가 빛이 바랬다.

게다가 고척돔의 유력한 ‘주인’으로 거론되는 넥센은 아직도 주저하며 이전을 공식 발표하지 않고 있다. 현재 홈인 목동구장보다 2배 이상 비쌀 것으로 예상되는 임대료와 시설유지비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고척돔이 상습 교통정체 지역에 위치한 데다 전철역(1호선 구일역)에서 도보로 10분 넘게 떨어져 있는 것도 걸림돌이다. 주차시설 역시 500대가량만 수용 가능해 턱없이 부족하다.

고척돔이 한국 야구의 랜드마크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수익 창출 방안이 연구돼야 한다. 도쿄돔은 연간 300억원의 유지비가 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야구 외 다양한 이벤트로 흑자를 내고 있다. 테마파크인 도쿄돔시티 어트랙션스 등을 통해 1년 내내 사람들을 끌어모으고, 전철역과의 접근성을 통해 부족한 주차시설(700여대)을 보완했다. 오사카돔도 초반에는 돈 먹는 하마로 불렸지만 네이밍마케팅과 콘서트, 박람회 등으로 수익성을 개선했다. 고척돔이 참조할 만한 사례다.

hermes@seoul.co.kr
2015-08-17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