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류성룡의 삶·정신 오롯이… ‘징비록’을 만나다

류성룡의 삶·정신 오롯이… ‘징비록’을 만나다

김승훈 기자
입력 2015-08-11 17:50
업데이트 2015-08-11 18: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민속박물관 새달 30일까지 특별전

서애 류성룡(1542~1607)의 삶과 정신이 TV 드라마에 이어 전시에서도 되살아났다. 국립민속박물관과 한국국학진흥원이 광복 70주년을 맞아 다음달 30일까지 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하는 ‘징비록’(懲毖錄) 특별전을 통해서다.

국보 제132호 ‘징비록’ 초본.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국보 제132호 ‘징비록’ 초본.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유서통: 국왕이 명하거나 국왕에게 보고하는 문서 등을 넣었던 대나무통. 보물 제460호.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유서통: 국왕이 명하거나 국왕에게 보고하는 문서 등을 넣었던 대나무통. 보물 제460호.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임진왜란 발발 직후인 1592년 5월 2일 류성룡이 영의정에 임명됐을 때 받은 ‘영의정 교지’. 보물 제460-3호.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임진왜란 발발 직후인 1592년 5월 2일 류성룡이 영의정에 임명됐을 때 받은 ‘영의정 교지’. 보물 제460-3호.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류성룡은 1592년 발발한 임진왜란 때 영의정과 도체찰사(군 사령관) 등을 역임하며 조정의 중추 역할을 했다. 전후 어린 시절을 보낸 안동 하회마을로 돌아가 더이상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옥연정사에서 집필에 주력했다. 징비록도 이때 완성됐다. 징비록은 ‘지난 일을 경계하여 후환을 삼가다’라는 의미로, 임진왜란의 원인 및 전황 등을 기록한 책이다.

특별전에선 국보 제132호 ‘징비록’ 초본, ‘난후잡록’(보물 제160호), 투구와 갑옷(보물 제460호), 한글본 ‘징비록’(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45호) 등 30여점을 만나 볼 수 있다.

전시는 2부로 이뤄져 있다. 1부 ‘영의정으로서 임진왜란을 극복하다’에서는 류성룡이 국난 극복에 들인 노력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류성룡은 임진왜란 피란 중 영의정과 도체찰사가 돼 7년여 동안 선조를 보좌하면서 민심을 수습하는 등 여러 방면에서 활약했다. 개성 피란 도중 영의정으로 임명된 교지, 도체찰사로서 사용했던 투구와 갑옷, 전쟁 중 문서를 넣어 휴대했던 유서통(諭書筒), 명나라 장수 이여송이 류성룡에게 시를 써서 준 부채 등이 전란 당시의 상황을 엿볼 수 있게 한다.

2부 ‘뒷날의 경계를 위해 징비록을 쓰다’에서는 ‘징비록’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모았다. 임진왜란 당시 류성룡은 그가 작성한 문서 등을 모두 이면지를 활용해 필사해 두거나 명나라 책력인 대통력에 그때그때의 감회 등을 적었다. 전후 류성룡은 옥연정사에서 이들 기록을 참조해 저술했다. 처음에는 책 제목을 ‘난후잡록’(後雜錄)이라 했다가 ‘시경’ 소비편의 ‘나는 지난 일을 경계하여 후환을 삼가다’라는 내용을 참조해 ‘징비록’으로 바꿨다. ‘징비록’ 초본과 류성룡이 ‘징비록’ 초본을 쓸 때 사용했던 대나무 경상(經床), 류성룡과 각별하게 지냈던 오리 이원익(1547~1634) 종가 소장의 한글본 ‘징비록’, 2종의 목판본 ‘징비록’ 등을 접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민속박물관 상설3전시관의 전시 ‘풍산 류씨 집안의 가족 이야기-충효 이외 힘쓸 일은 없다’와 연계해 진행되고 있다.

천진기 국립민속박물관장은 “‘효경’의 ‘효자 집안에서 충신이 난다’는 말처럼 안으로는 효를 바탕으로 집안을 다스리고 밖으로는 진정한 충을 실천했던 류성룡의 이야기를 통해 가족과 사회에 대한 의미를 되새겨 봤으면 한다”고 설명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8-12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