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한류 클래식은 가능하다/이원철 코리안심포니 대표이사

[열린세상] 한류 클래식은 가능하다/이원철 코리안심포니 대표이사

입력 2015-07-28 17:52
업데이트 2015-07-28 17: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 나라의 문화 수준은 그 나라 오케스트라의 연주 수준을 보면 알 수 있다. 오케스트라가 문화의 총체임을 말해 주는 표현이다. 오케스트라를 요리에 비유하는 사람도 있다. 삶을 풍요롭게 하고 깊은 맛을 음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오케스트라의 지휘자와 요리사가 지향하는 점도 일맥상통한다. 지휘자는 곡을 연주하기 전에 단원들과 미리 약속한 곡의 이미지와 빠르기, 흐름 등을 준비한다. 요리사도 요리를 만들기 전에 재료의 맛과 모양, 색깔, 이미지 등을 준비한다.

이원철 코리안심포니 대표이사
이원철 코리안심포니 대표이사
훌륭한 요리사라면 재료를 잘 파악하고 그만의 독특한 요리법을 창출해 맛있는 요리를 내놓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좋은 지휘자는 각각의 악기 연주자들의 스타일을 잘 알고 있으며 자신이 추구하는 소리에 작곡가의 의도를 정확하고 정밀하게 표현해 낼 것이다.

해방과 더불어 우리나라에서도 교향악단이 처음 연주회를 했으니 한국 오케스트라 역사는 고작 70년인 셈이다. 짧은 연수지만 경제 발전과 더불어 오케스트라도 높은 수준으로 성장해 왔다. 양적으로도 크게 성장했다. 현재 시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시립·공립 오케스트라 40여개와 민간 오케스트라 200여개가 활동하고 있다. 독일에 현재 80개의 오페라 극장과 정부 보조금을 받는 135개의 오케스트라가 존재하는 것과 비교해 봐도 적은 수는 아니다.

하지만 오케스트라의 경영적 측면에서 보면 아직 세계 수준에 못 미친다. 미국의 저명 오케스트라 경우 이사회는 100명 정도로 구성돼 있어서 이들 이사진은 연간 수천만원에서 수억원에 이르는 기부금을 오케스트라에 후원한다. 라트비아 출신의 세계적인 지휘자 마리스 얀손스는 “재정은 악단 운영의 모든 것을 통제하고 결정한다. 음악은 재정에 의존적이고, 재정이 실제로 음악을 지배한다”고 말했다. 강국(强國)에 약음(弱音) 없다고 했다. 선진국 반열에 서 있는 한국이 음악적으로 강해지려면 튼튼한 재정적 기반 위에서 운영돼야 한다.

한국의 오케스트라들이 세계적 수준으로 더 성장하려면 첫째로 기량이 뛰어난 단원들을 확보해야 한다. 세계 유수의 국제 콩쿠르에서 배출된 한국 출신 연주가들이 국내 악단에서 활약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줘야 한다. 필자가 근무하는 코리안심포니의 내년 경영 목표도 우수 단원 확보나 예산 확보 등에 어려움이 있어 해결책을 고민하고 있다. 둘째로 좋은 지휘자의 발굴과 지원, 성원이 필요하다. 뛰어난 지휘자가 뛰어난 오케스트라를 만든다. 지휘자의 능력에 따라 오케스트라의 소리가 달라진다. 사실 한국의 오케스트라들은 지휘자 기근에 시달리고 있다.

셋째는 국공립 오케스트라들이 외부 재원을 쉽게 조달할 수 있어야 한다. 미국의 뉴욕 필하모닉이나 보스턴 심포니 등 저명 오케스트라는 연 700억원 내외의 재원을 조달한다. 이는 대기업이나 수많은 일반인의 기부로 만들어지고 있다. 넷째는 국공립 오케스트라의 인사 시스템에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이는 정기적인 단원 오디션으로만 해결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는 오케스트라의 인지도와 시민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이 제시돼야 할 것이다. 연주회 애호가를 확충하기 위해 청소년과 클래식 음악 입문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돼야 한다.

아울러 기금 확보를 가능케 하는 기부 문화의 확산과 조세 정책의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현재 유럽과 미국 클래식 시장은 정체돼 있고, 시장 확대에 한계가 있다는 게 서구의 공연기획사들이나 음반사들의 공통된 주장이다. 우리 클래식 음악시장에 대해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시선을 갖는 이들도 많은데, 외국 연주자들이 한국에 와서 연주를 하면 꼭 하는 말이 “관객층이 젊다”는 것이다. 한국 공연시장은 최근 10년 동안 세 배 이상 성장했다.

그동안 세계 클래식 시장은 유대인들이 선도해 왔다. 그들은 서로 끌어 주면서 최고의 음악가들을 세계 무대에 등장시켜 왔다. 유대인들의 선례처럼 앞으로 국가와 기업은 물론 세계 각지에 나가 있는 한국인과 음악가들이 모두 힘을 합친다면 한류 클래식의 전 세계 확산은 결코 멀리 있지 않다고 확신한다.
2015-07-29 26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