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꿈 사업화 멘토링… 한류 창조 요람으로”

“꿈 사업화 멘토링… 한류 창조 요람으로”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15-06-29 23:02
업데이트 2015-06-29 23: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출범 4개월 CJ 문화창조융합센터

#사례:지난 5월 18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CJ E&M센터에서 열린 ‘문화창조융합센터’ 개소 100일 기념식. 이날 오프닝 무대를 맡은 인디 밴드 ‘미미미’(MEMEME!)의 음악이 장내에 울려 퍼졌다. 미미미는 음악 프로듀서 신요한씨를 중심으로 록, 하우스, 펑크 등 다양한 장르의 융합을 시도하는 인디 밴드다. 2013년에 데뷔한 이 밴드는 디제잉을 비롯해 거문고, 현대무용과의 협업, 미술전시와의 결합 등 다양한 형태로 활동을 해 왔지만 실험적인 방식으로 음악을 하다 보니 실력에 비해 폭넓은 활동을 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 밴드는 문화창조융합센터를 방문한 후 CJ E&M 음악사업부 전문가들에게 여러 차례 밴드의 방향성 등에 관한 조언(멘토링)을 받았다. 이후 미미미 밴드는 실력을 인정받아 조만간 열리는 ‘안산 M밸리 록페스티벌’에 초청받는 등 꿈의 무대에 설 수 있게 됐다.

이미지 확대
지난 5월 18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CJ E&M센터 내 문화창조융합센터에서 열린 센터 개소 100일 기념 오픈 하우스 행사에서 인디 밴드 ‘미미미’가 오프닝 무대를 선보이고 있다. CJ그룹 제공
지난 5월 18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CJ E&M센터 내 문화창조융합센터에서 열린 센터 개소 100일 기념 오픈 하우스 행사에서 인디 밴드 ‘미미미’가 오프닝 무대를 선보이고 있다.
CJ그룹 제공


CJ그룹이 주축이 돼 지난 2월 11일 출범한 문화창조융합센터가 문을 연 지 4개월밖에 안 됐지만 다양한 성과를 내며 순항하고 있다. 29일 CJ그룹에 따르면 이 센터에 하루 평균 120명의 창작자들이 다녀가면서 지난 17일 방문 인원 1만명을 돌파하기도 했다.

특히 방문객의 20%는 외국인이었다. 중국 광둥성방송그룹, 청두미디어그룹, 구이저우성방송 등 중국 미디어 관계자들을 포함해 아시아, 유럽, 북미 등의 공무원과 기업인들이 센터를 찾아 민관 협력의 새로운 문화 생태계를 만드는 구조를 살펴보기도 했다. 또 이달 초에는 미국 와튼스쿨 교수진 6명이 센터를 방문했고 코넬대 경영학석사(MBA) 과정의 학생, 뉴욕대 MBA 과정 교수와 학생, 미국 남가주대 MBA 과정 교수와 학생 등이 센터를 찾아 한류를 만들어 내는 한국 문화산업의 과정을 배우기도 했다.

이처럼 세계 각국에서 관심을 가지는 문화창조융합센터는 CJ가 쌓아 온 문화사업 노하우로 미미미 밴드처럼 아이디어는 좋지만 좋은 아이디어를 어떻게 풀어내야 할지 고민이 되는 창작자들에게 좀 더 완성도 높은 문화 콘텐츠 기획 및 이를 상품화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준다.

음악과 공연뿐 아니라 미디어 아트, 웹드라마, 캐릭터, 게임 등의 분야에도 멘토링을 해 주고 쇼케이스, 콘텐츠 마켓 출품 등으로 사업화 단계에서 성공을 거둘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요즘 주목받는 분야인 웹드라마는 지상파 PD의 멘토링으로 중국 시장 진출을 타진하고 있다. 패션 관련 제품들은 다음달 말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열리는 CJ그룹의 대표적인 한류 확산 플랫폼 ‘케이콘’(KCON) 행사에 출품하기 위해 멘토링을 받고 있다.

또 문화창조융합센터는 전국의 다른 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협력 모델 개발에도 적극적이다. 지난 26일 문을 연 제주 창조혁신센터와는 제주 신화를 바탕으로 캐릭터 사업을 하는 스타트업 기업을 공동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CJ그룹 관계자는 “지난 20년간 문화사업에 뚝심 투자를 해 식품에서 문화기업으로 탈바꿈시킨 이재현 회장의 의지와 노력이 문화창조융합센터를 통해 결실을 이루도록 온힘을 쏟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5-06-30 18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