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메르스 꺾이나] 신종플루 vs 메르스 한달 대응 비교

[메르스 꺾이나] 신종플루 vs 메르스 한달 대응 비교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15-06-22 18:04
업데이트 2015-06-23 04: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추정환자 발생 다음날 곧장 대책본부 발족 vs 첫 확진 15일 만에 부랴부랴 긴급 장관회의

메르스가 기승을 부린 지난 한 달 동안 보건 당국의 허술한 방역 체계와 제때 관련 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정부의 안이한 대응으로 국가와 보건 당국에 대한 불신은 메르스 바이러스만큼이나 빠르게 번졌다.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A(H1N1·신종 플루) 유행 당시와 현재 메르스 확산에 따른 정부 대처의 차이점을 비교해 본다.

이미지 확대
메르스 사태와 신종 플루 당시 상황을 비교할 때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정부의 초기 대응이다. 2009년 5월 1일 국내 첫 2차 감염 환자가 발생하면서 유행하기 시작한 신종 플루로 2010년까지 국내에서 76만명이 감염됐고, 270명이 숨을 거뒀다. 당시 이명박 정부는 확진자가 900명을 넘어선 이후에야 국가 위기 단계를 ‘주의’에서 ‘경계’로 상향 조정하면서 늑장 대응이라는 지적을 받았다.

하지만 추정 환자가 발생한 다음날인 2009년 4월 29일 중앙인플루엔자대책본부를 구성하는 등 초기 대응은 비교적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당시 대책본부는 인권 침해 논란이 일 정도로 강도 높은 격리조치를 취하고 환자가 발생한 병원 이름을 즉시 공개하는 등 발 빠르게 대응했다. 이러한 강력대응으로 첫 환자 발생 이후 한 달째인 2009년 5월 31일 기준으로 전체 감염자는 39명에 그쳤고, 첫 사망자도 3개월 뒤인 8월 15일 발생했다.

전병율 연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22일 “신종 플루 때는 입국장에서의 발열 감시, 환자 발생지역 및 병원 이름 공개 등 정부의 방역체계가 가동되는 모습이 언론에 비춰지면서 국민들이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메르스 첫 확진자가 발생한 5월 20일 ‘일반국민에게 전파될 가능성이 없다’고 장담하던 현 정부는 6월 3일에야 긴급 관계부처 장관회의를 열어 대책을 논의했다. 중앙메르스대책본부가 5월 29일 구성되기는 했지만 별다른 기능을 하지 못한 채 3차 감염자와 첫 사망자까지 발생한 상황이었다. 확진자가 발생하거나 거쳐 간 병원 이름을 공개하길 꺼리던 정부는 6월 7일에서야 뒤늦게 병원 이름을 밝혔다. 명단이 공개되고서 병원과 시민사회가 촘촘하게 방역망을 폈지만, 이미 너무 많은 환자가 여러 군데의 병원을 다니면서 통제 가능 수준을 벗어났다.

국가 위기 단계는 여전히 ‘주의’로 유지되고 있지만 메르스로 목숨을 잃은 국민이 27명(치사율 15.7%)에 이른다. 강대희 서울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면서 관련 정보가 풍부했던 신종 플루와는 달리 메르스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은 사실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2m 이내에서 밀접접촉하지 않으면 안심해도 된다’는 식으로 허술하게 대처하다 보니 불안감이 더 커지게 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세종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5-06-23 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