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경제 블로그] 3월 사망자 급증·노인기준 상향… 고령화 ‘유산’인가요

[경제 블로그] 3월 사망자 급증·노인기준 상향… 고령화 ‘유산’인가요

장은석 기자
장은석 기자
입력 2015-05-29 00:10
업데이트 2015-05-29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인도는 섭씨 50도에 육박하는 폭염이 닥쳐서 사망자 수가 1100명을 넘어섰습니다. 이처럼 날씨가 갑자기 더워지거나 추워지면 이를 이기지 못하는 노약자들이 세상을 떠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나라도 겨울철과 여름철에 사망자 수가 더 많은 까닭이 여기에 있습니다.

그런데 한여름도 아닌 올 3월 사망자 수(2만 6500명)가 월별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그렇다고 꽃샘추위가 오래 지속된 것도 아닙니다. 특별한 요인이 없어 “이상하다”고 고개를 갸웃거리던 통계 전문가들은 주범으로 ‘고령화’를 지목했습니다.

윤연옥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가 워낙 빠르다 보니 (급속히 늘어난) 노인 인구가 많이 세상을 떠나는 것 같다”면서 “앞으로 더 많아질 것이고 이런 현상은 꽤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실제 올해 1분기 연령대별 사망자를 보면 14세 이하, 15~44세, 45~64세, 65~84세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2~1.1% 줄었습니다. 85세 이상 사망자만 유일하게 2.5% 늘었습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새로 탄생한 생명도 늘고 있다는 점입니다. 지난 3월 태어난 아기는 총 4만 400명으로 1년 전보다 6.3% 늘었습니다. 3월 출생아 수가 4만명을 넘은 것은 2012년 이후 3년 만입니다. 하지만 2028년이 되면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보다 더 많아집니다. ‘인구 오너스’(생산연령인구 감소)가 시작된다는 의미이지요. 최근 ‘노인’ 기준 나이를 올리자는 얘기가 공론화되고 있습니다. 정년 연장처럼 ‘일하는 장년’과 ‘노는 노인’ 사이의 공백기를 좁혀 주거나 고령연금 수령 시기 조정 등의 사회적 뒷받침 없이 덜컥 노인 기준만 올리는 것은 무책임하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통계청이 월별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95년 1월 이후 사상 최고치를 찍은 사망자 수는 이런 주장에 힘을 실어 줍니다. 고령화의 ‘유산’이 우리 사회를 짓누르기 시작했습니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5-05-29 2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