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울광장] ‘백제 세계문화유산’ 감당할 의지 있나/서동철 논설위원

[서울광장] ‘백제 세계문화유산’ 감당할 의지 있나/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입력 2015-05-08 23:32
업데이트 2015-05-08 23: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논설위원
공주·부여·익산의 백제 유산을 한데 묶은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가 확실시된다는 소식에 놀랐다. 경주의 신라 유산이 일찌감치 세계유산에 올랐으니 백제의 그것이 같은 대접을 받는 것은 당연하지 않으냐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공주·부여·익산이 경주와 다른 것은 지상에 남은 백제의 흔적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보이는 것이 많지 않음에도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가치가 있다고 세계유산위원회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코모스)를 설득해 낸 것은 대단한 일이다.

부여에는 수학 여행 단골 코스인 부소산성과 낙화암, 고란사가 있지만 백제 패망의 역사에 대한 감회에 젖게 할 뿐 백제시대 유적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읍내 남쪽의 인공 연못인 궁남지, 논산 쪽으로 나가는 길가 나성(城)의 흔적과 능산리 고분군 정도가 그나마 백제의 옛 향기를 풍기고 있다. 이렇게 보면 정림사터 오층석탑은 백제의 수도 사비에서 제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유일한 백제 유적이다.

백제의 옛 수도에 이렇듯 백제의 흔적이 남아 있지 않은 것은 전쟁에서 승리한 나당연합군이 사비성을 점령한 뒤 모든 것을 파괴해 버렸기 때문이다.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정림사 오층석탑에 새겨 놓은 이른바 평제비명(平濟碑銘)도 백제의 수도를 쓸어 버리며 패망한 나라를 다시 일으켜 세우겠다는 생각을 버리라는 일종의 협박성 포고문이나 다름없었다. 사비성의 폐허 속에서 단연 우뚝했을 정림사 오층석탑이 버틸 수 있었던 것도 역설적으로 이 포고문의 존재 때문이었다.

신라가 점령지를 통치하며 얼마나 주민들의 뇌리에서 ‘백제적인 것’을 지워 버리려 애썼는지는 이른바 백제계 석탑의 역사를 살펴보아도 짐작할 수 있다. 백제의 옛 땅인 충청과 호남 지역에는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을 비롯해 정림사 탑을 모범으로 삼은 석탑이 여럿 남아 있다. 그런데 이 탑들은 모두 통일신라의 지배에서 벗어난 후삼국시대 이후 것이다. 백제 탑을 닮은 탑을 세우는 것조차 반국가 활동으로 여길 만큼 신라의 지배 정책이 완고했기 때문이다. 신라가 부여는 물론 공주에도 백제의 흔적을 거의 아무것도 남겨 놓지 않은 것은 오히려 자연스럽다.

그러니 유독 익산에 백제 유적인 미륵사석탑과 왕궁리 오층석탑이 번듯하게 남아 있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잘 알려진 대로 미륵사는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인 선화공주와 백제 무왕의 로맨스가 담긴 절이다. 하지만 2009년 석탑 해체보수 과정에서 사리장엄이 발견되고, 명문에 적힌 무왕의 왕비 사택씨의 존재가 드러나면서 선화공주 이야기는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글자 그대로의 설화로 추락할 수도 있는 위기에 봉착하기도 했다. 최근 사택씨의 존재가 곧 선화공주의 로맨스를 부정하는 근거가 될 수 없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것은 다행스럽다. 여기에 한 가지 더. 신라 점령군이 탑을 허물 수 없었던 것도 신라 공주의 손길이 배어 있기 때문은 아니었을까 상상해 본다.

이코모스는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세계유산 등재 기준을 충족했다는 평가를 내리며 ‘한국, 중국, 일본의 고대 왕국 사이 교류의 결과 백제가 이룩한 건축기술 발전과 불교 확산을 보여 준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수도 입지 선정, 불교 사찰, 성곽과 건축물의 하부 구조, 고분과 석탑으로 백제의 역사, 내세관과 종교, 건축기술, 예술미를 보여 주는 유산이자 백제의 역사와 문화의 특출한 증거’라는 것이다.

읽다 보니 많은 것이 남아 있지 않은 현재의 모습에 머물지 않고 백제의 역사와 무령왕릉 및 왕흥사 같은 발굴 성과까지 종합적으로 감안해 후하게 평가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난개발이 이루어진 이 도시들의 모습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특히 유적 주변이 도시화된 공주와 부여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부합하는 고도(古都)의 품격을 지니고 있는지 의문이다.

세계유산 등재가 그저 기쁜 소식을 들은 것에 그치면 안 된다. 어떻게 세계유산에 걸맞은 역사 도시로 가꾸어 갈 것인지 본격적으로 고민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하지만 부여읍 관북리·쌍북리 일대 사비왕궁터 정비 사업에 필요한 토지매입 예산조차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제부터라도 달라지지 않는다면 세계유산을 만들어 준들 감당도 못 하는 나라라는 손가락질을 받아도 싸다.



dcsuh@seoul.co.kr
2015-05-09 23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