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원·엔환율 한때 900원선 붕괴] “엔화 약세 10월까지 지속 예상”… 추락 제동용 금리인하 나서나

[원·엔환율 한때 900원선 붕괴] “엔화 약세 10월까지 지속 예상”… 추락 제동용 금리인하 나서나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15-04-23 23:38
업데이트 2015-04-24 03: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디까지 떨어질까’ 전문가 진단

원·엔 환율이 추락하면서 한국은행으로 다시 눈길이 쏠리고 있다. 외환당국이 개입하거나 개입에 대한 경계감으로 100엔당 900원 선은 지켜낼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지만 엔화 가치 하락이 워낙 빠르기 때문이다. 추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미지 확대
원·엔 환율이 100엔당 800원대로 떨어진 23일 서울 중구 을지로 외환은행 딜링룸에서 한 방송사 취재진이 환율 시세판을 찍은 영상을 확인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원·엔 환율이 100엔당 800원대로 떨어진 23일 서울 중구 을지로 외환은행 딜링룸에서 한 방송사 취재진이 환율 시세판을 찍은 영상을 확인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이미지 확대
23일 한은에 따르면 2013년 9월 1.0%를 기점으로 일본의 소비자물가가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를 웃돌고 있다. 지난 2월 일본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2%다. 소비세 인상을 제외하면 보합세라지만 우리나라(0.5%)는 담뱃값 인상분을 빼면 마이너스다. 물가상승률이 낮으면 화폐가치가 오르는 경향이 있다. 안기태 NH투자증권 수석연구원은 “수출 진작을 위해서라도 국내 물가를 높일 필요가 있다”며 한은이 금리를 내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은은 그동안 원·달러 환율보다는 원·엔 환율 하락에 대해 더 큰 우려를 보여 왔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달 초 금융통화위원회 정례 간담회에서 “원·엔 환율 하락에 대해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열린 금통위에서도 한 금통위원은 “지난해 4분기 우리나라의 대일 수출과 대유럽 수출이 엔화와 유로화 약세로 크게 줄어든 반면, 일본의 실질수출은 양적완화 이후 상당히 호조를 보이고 있다”며 “엔화 약세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더이상 간과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전문가들은 원·엔 환율이 더 떨어질 수 있지만 오래가지는 못할 것으로 본다. 박지훈 외환은행 트레이딩부 과장은 “일본 중앙은행(BOJ)이 (2차 양적완화 1년을 맞는) 10월에 어떤 통화정책을 내놓을 때까지는 원화 강세가 계속될 것”이라며 “(원·엔 환율이) 850원까지 내려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미국의 금리 인상이 본격화되면 원·엔 하락세가 주춤해지거나 상승 반전할 수 있다. 정경팔 외환선물 시장분석팀장은 “10년 전 흐름을 보면 1년 8개월간 쭉 하락해서 740원까지 떨어졌다”면서 “미국의 금리 인상이 내년으로 늦춰진다면 그때와 비슷하게 갈 수 있지만 (올해 미국 금리가) 인상되면 위험거래 청산 수요가 유입되면서 원·엔 환율이 오름세로 돌아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대일 KDB대우증권 수석연구원도 “앞으로도 (미국의 금리 인상 논의로) 달러 강세가 나타날 수 있고 일본의 양적완화에 대한 추가 기대는 약한 상황”이라며 “우리나라는 성장률 둔화로 (기준금리 추가 인하나 추경 편성 등) 정책 여지가 있어 원·엔 환율이 올라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외환 당국의 개입 가능성도 변수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원·엔 환율이 900원 이하로 떨어지면 제조업 등 개별 기업에서 위험관리를 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며 “당국이 추가 금리 인하 등이 있다는 신호를 시장에 줘야 한다”고 말했다.

외환시장은 주식시장과 달리 세계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24시간 움직인다. 원·엔 환율 100엔당 900원 붕괴는 서울 외환시장 개장 전 원·달러 환율 전날 종가와 개장 전 엔·달러 환율을 비교한 것이다. 기획재정부는 서울 외환시장이 개장한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의 최저가는 902.0원으로 900선이 무너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5-04-24 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