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오늘의 눈] 부끄러움 없는 부끄러움/이두걸 특별기획팀 기자

[오늘의 눈] 부끄러움 없는 부끄러움/이두걸 특별기획팀 기자

이두걸 기자
이두걸 기자
입력 2015-04-21 17:58
업데이트 2015-04-22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두걸 특별기획팀 기자
이두걸 특별기획팀 기자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러움이 없기를.’

시와 담 쌓고 지낸 지 십수 년째지만 여전히 입에서 멤도는 구절이다. 윤동주의 ‘서시’ 도입부다. 서시는 우리 민족이 가장 사랑하는 시로 손꼽힌다. 핵심 시상은 ‘부끄러움’이다. 부끄러움을 느끼기에 화자는 ‘세상의 죽어 가는 것들을 사랑하고 나에게 주어진 길을 걸어가겠다’고 선언한다.

부끄러움은 유교 전통과도 맞닿아 있다. 공자(孔子)는 ‘덕과 예로 통치하면 백성들이 부끄러움이 있을 뿐 아니라 떳떳해진다’(논어 위정 3장)고 설명했다. 공자를 계승한 맹자(孟子)는 부끄러움을 인간다움의 차원으로 끌어올렸다. ‘부도덕한 행동에 부끄러움을 느끼고 타인의 악행에 분노를 느끼는 마음’(수오지심·羞惡之心)이 인간의 본질 중 하나라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사람은 부끄러움이 없어서는 안 된다. 부끄러움이 없는 것을 부끄러워한다면 부끄러워질 일이 없다’(맹자 진심장)고 역설했다.

부끄러움은 외부와의 관계에서 비롯된 감정이다. 한 집단이 설정한 도덕 기준을 어기거나 다른 이에게 피해를 줬을 때 나타나기 때문이다.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을 잃으면 부끄러움도 사라지는 건 이런 이유에서다. 맹자는 이를 기초로 왕도정치(王道政治)의 정치관을 제시한다. 군주가 물리적 강제력으로 다스리는 패도정치(覇道政治)가 아닌 덕(德)을 바탕으로 한 왕도정치를 펼쳐야 한다는 것이다. 현대 정치는 ‘가치의 권위적 배분’ 권한을 놓고 벌이는 무한경쟁이다. 그런 상황에서 왕도정치는 유토피아적 허구에 불과할 수 있다.

하지만 박근혜 대통령은 왕도 대신 패도에 쏠린 모습이다. ‘수첩인사’나 ‘문고리 3인방’ 등 논란은 일단 제쳐 두자. 세월호 참사 이후 1년간 진상규명 등은 한 발자국도 나아가지 못했다. 참사 1주년 당일 출국을 감행하는 행태는 할 말을 잃게 만든다. 그러니 광화문 한복판에 거대한 차벽을 세워 생때같은 자식을 바다에 묻은 유족들을 막았을 것이다.

타인의 고통에 아랑곳하지 않으니 염치도 찾아볼 수 없다. ‘성완종 리스트’의 ‘몸통’은 자신의 대선 자금이지만 “부정부패에 책임 있는 사람은 누구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의 3인칭 화법으로 목소리를 높인다. ‘사의를 표명한 이완구 총리 정도면 꼬리로 충분할 것’이라는 의도도 읽힌다. ‘현 정부는 부끄러움을 모르고, 부끄러움을 모르면 짐승과 같다’는 한완상 전 대한적십자사 총재의 일침이 거칠게 들리지 않는 까닭이다.

이창동 감독의 영화 ‘시’의 주인공 ‘미자’는 시 쓰기를 꿈꾸는 할머니다. 그러나 손자가 집단 성폭행에 가담하고, 피해 여학생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는데도 이를 아랑곳하지 않는 현실과 직면한다. 미자는 결국 자작시를 완성하지만 손자를 경찰에 신고하고 자살을 선택한다. 시와 현실의 불일치에 대한 부끄러움 때문이다. 독일 시인의 옛 시구를 되뇐다. ‘어두운 시대에/그곳에서도 노래가 불려질 것인가?/그곳에서도 노래는 불려질 것이다/어두운 시대에 대해.’(베르톨트 브레히트, ‘모토’)

douzirl@seoul.co.kr
2015-04-22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