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무성, 의원들에게 “이완구 사실상 사퇴”라며…

김무성, 의원들에게 “이완구 사실상 사퇴”라며…

입력 2015-04-19 10:02
업데이트 2015-04-19 18: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朴대통령, 이총리 거취 ‘문창극식’으로 정리하나

박근혜 대통령이 고(故)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금품 수수 의혹에 휘말린 이완구 국무총리의 거취 문제와 관련, 순방 귀국 후 결정하겠다고 하면서 이번 상황이 지난해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 때와 비슷하게 전개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의 발언은 27일까지 이어지는 순방 기간에 이 총리 문제에 대한 여론과 검찰 수사의 진행 상황을 지켜본 뒤 최종적으로 결정하겠다는 취지라는 것이 청와대 관계자들의 설명이지만 이 총리를 둘러싼 의혹이 사그라지지 않고 있어서다.

성 전 회장으로부터 3천만원을 수수한 의혹을 받고 있는 이 총리는 성 전 회장 문제와 관련해 국회 대정부질문 답변 과정에서 말을 바꾸는 듯한 모습을 보인데다 이 총리의 해명과 달리 성 전 회장이 이 총리에게 돈을 건넸다고 한 2013년 4월4일에 이 총리가 성 전 회장과 독대했다는 주장이 계속 나오면서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잃고 있는 상황이다.

박 대통령과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지난 16일 회동 이후 새누리당 내에서 이 총리의 사퇴를 사실상 기정사실화하는 듯한 기류가 보이는 것도 이런 차원으로 분석된다. 실제 김 대표는 박 대통령과의 회동 후 이 총리의 거취 문제와 관련해 당내 인사들에게 “사실상 사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새누리당 핵심관계자는 19일 이 총리 거취와 관련, “사실상 사퇴 수순으로 간다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청와대는 이 총리 문제에 대해 좀 더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박 대통령의 발언이 이 총리 사퇴 가능성까지 열어놓은 것이기는 하지만 현 단계에서 이 총리의 거취에 대해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 총리 거취와 관련해 “(의혹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총리에게 준 것으로, 지켜보자”고 말했다.

이런 차원에서 청와대가 현재 후임 총리를 인선하기 위한 준비도 하지 않고 있다고 관계자는 밝혔다. 이 관계자는 “대통령께서 다녀와서 결정한다고 하셨는데 그런 작업을 하면 엄청난 사퇴 압박이 되지 않겠느냐”면서 “그런 준비 작업은 오해의 소지가 굉장히 많다”고 말했다.

이는 이 총리에게 공이 넘어간 만큼 이 총리의 대응과 여론 동향, 검찰 수사 등을 지켜보자는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문제는 이 총리에 대한 의혹은 물론 의혹에 대응하는 이 총리의 모습으로 여론이 크게 악화된 상황에서 박 대통령이 순방 귀국 후 이 총리를 과연 재신임할 수 있겠느냐다.

이런 차원에서 박 대통령의 선택은 재신임보다는 자진사퇴 권유 내지 해임이 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많다. 이럴 경우 지난해 6월 문창극 총리 후보자 때와 비슷하게 상황이 정리될 가능성도 있다.

현역 총리와 총리 후보자라는 신분의 차이는 있지만 의혹 또는 논란이 제기된 이후 박 대통령이 대응한 방식과 두 사람의 태도에 흡사한 부분이 많다.

문 후보자가 친일사관 논란으로 사퇴 압박을 받자 당시 중앙아시아 순방(6월16~21일) 중이었던 박 대통령은 문 후보자의 임명 동의안 재가 문제에 대해 “귀국해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문 후보자가 사퇴 거부 의사를 보이면서 실제 사퇴는 박 대통령의 귀국 3일 뒤인 24일 이뤄졌다.

이 총리 역시 자신의 거취 문제에 대한 논란에도 국정 수행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다만 문 후보자와 달리 이 총리는 사실 관계 차원의 문제라는 지적도 있다. 검찰 수사 등에서 이 총리 관련 의혹에 대한 결정적 증거가 나올 경우 박 대통령의 순방 귀국 전이라도 이 총리가 자진 사퇴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박 대통령은 순방지에서 국내 상황에 대한 보고를 지속적으로 받으면서 이 총리 문제에 대해 생각을 가다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