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커버스토리] “밤낮으로 일해도 야근수당은 그림의 떡, 난 회사의 이방인… 쫓겨날까 전전긍긍”

[커버스토리] “밤낮으로 일해도 야근수당은 그림의 떡, 난 회사의 이방인… 쫓겨날까 전전긍긍”

원다연 기자
입력 2015-04-17 23:32
업데이트 2015-04-18 0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정규직 청년들의 ‘슬픈 아우성’

“정규직 지원서에 적어 넣을 한 줄을 만들기 위해 돈도, 개인 생활도 포기한 시간이었다.”

졸업을 미루고 취업을 준비하는 진모(25·여)씨는 자신이 경험한 첫 일자리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진씨는 소규모 광고대행사에서 3개월 계약직 인턴으로 일한 뒤 다시 취업을 준비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진씨처럼 직장을 그만두고 구직 활동을 하고 있는 20대 실업자 수는 올해 2월을 기준으로 37만 1000명에 이른다. 아예 취업한 경험이 없는 20대 실업자(7만 9000명)보다 훨씬 많다. 첫 일자리를 단기 비정규직으로 시작하거나 어떤 이유에서든 얼마 일하지 못하고 회사 문을 나선 이들이 그만큼 많다는 뜻이다.

●청년 취업자 3명 중 1명이 비정규직

진씨는 지난해 하반기 취업 시즌 때 일자리를 얻지 못하자 급한 마음에 인턴을 시작했다. 근로 조건을 따질 여유가 없었다. 3개월 동안 진씨가 쓸 수 있었던 휴일은 하루뿐이었다. 진씨는 “매일같이 야근을 했지만 야근수당은 없었다”고 말했다.

한국노동연구원(KLI)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2014년 KLI 비정규직 노동 통계’를 보면 ‘근로 조건에 만족해 취업했다’고 답한 비정규직 노동자의 비율은 전체의 22.8%에 불과했다. 지금의 정규직 일자리를 얻기까지 한모(25·여)씨도 14개월간 계약직에 대한 부당한 처우를 견뎌야 했다. 카지노에서 딜러로 일하는 한씨는 “3개월마다 밤낮 스케줄을 바꿔 가며 일하는 직종인데 1년 가까이 휴가가 따로 없어 힘들었다”고 하소연했다. 계약직 청년에 대한 차별은 매우 사소한 것에서부터 이뤄진다. 한씨는 “명절 선물로 정규직에게는 햄을 주는데, 계약직은 김을 주더라”고 말했다.

열악한 근로 환경보다 더 힘든 것은 계약 만료 후 어찌 될지 알 수 없는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다. 대형 어학원에서 2년 계약직으로 일하는 조모(25·여)씨는 자신을 “회사의 이방인 같은 존재”라고 표현했다. 고용이 불안하니 ‘내 직장’이라는 느낌보다 기간 내에 할 일만 하고 가는 이방인이란 생각이 들고, 정규직 직원들도 자신을 이방인처럼 여긴다고 했다. 올해 초 계약한 그는 “2년 뒤에 쫓겨나 다시 취업 준비를 할 생각을 하면 벌써부터 무섭다”고 말했다.

●급한 마음에 인턴으로 첫발… 계약직 경력 인정 못 받아

조씨가 일하는 회사는 대학생 때 취업 준비를 하면서 아르바이트했던 곳이다. 졸업을 앞두고 정규직 일자리에 지원하려고 했지만 아무리 기다려도 신입사원 모집 공고문이 나붙지 않았다. 조씨는 “원서를 쓰면서 방송에서 ‘다 경력직만 뽑으면 우리 같은 신입은 어디에서 경력을 쌓느냐’는 말을 듣고 너무 와 닿았다”며 “서류에 쓸 수 있는 경력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에 우선 계약직으로 일을 시작했다”고 털어놨다.

취업시장에서 경력직을 선호하는 경향은 뚜렷하다. 지난 1월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국내 기업 등의 인사담당자 21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에 따르면 ‘현재 기업에 가장 필요한 인력이 누구냐’는 질문에 ‘신입사원’이라고 답한 비율은 18.1%에 불과했다. 반면 ‘경력 1~3년차’라고 답한 비율은 56.0%로 절반이 넘었다.

설 곳이 없어진 청년들은 정규직으로 올라서기 위해 비정규직 일자리에서 고군분투한다. 통계청 조사를 보면 지난해 계약 기간이 끝나면 그만둬야 하거나 일시적으로만 일할 수 있는 곳을 첫 직장으로 잡은 15~29세 청년은 전체 청년 취업자의 34.8%로 3명 중 1명꼴이다. 1년 이하 계약직으로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청년은 19.5%였다.

2년째 취업 준비를 하면서 단기 인턴으로만 두 차례 일했다는 김모(26·여)씨는 “비정규직으로 사회에 첫발을 떼는 게 문제라기보다 정규직으로 옮겨 갈 때 비정규직 경력을 정당하게 인정받지 못하는 것이 더 큰 문제”라고 말했다.

●전문가 “신분 차별형 인사 구조, 통합형으로 바꿔야”

신경아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는 “지금 한국 사회에서 노동 문제는 지진이 일어날 때의 진앙과 같다”면서 “청년들이 비정규직으로 사회 진출을 시작할 수밖에 없는 환경은 개개인의 좌절감과 열패감 수준을 넘어 미래 계획을 세우는 생애 과정을 무력화해 결국 전체 사회를 흔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희 고려대 노동대학원 교수는 “비정규직으로 사회에 진출한 청년들이 일을 하면서도 경력이 단절되고 정규직을 위해 따로 취업 준비를 해야 하는 것은 사회적인 낭비”라면서 “비정규직으로 경력을 쌓았는데도 적절한 보상과 인정을 하지 않는 건 기업이 말하는 효율적인 인력 운용과도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현재 비정규직과 정규직이 완전히 분리된 신분 차별형 인사 구조를 통합형 인사 구조로 바꾸는 것만이 문제 해결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원다연 인턴기자 panda@seoul.co.kr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04-18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