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휴대전화 개통도 차별… “정신질환자도 이웃입니다”

휴대전화 개통도 차별… “정신질환자도 이웃입니다”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5-04-12 17:54
업데이트 2015-04-12 19: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신장애인, 외면받는 현실과 고통

“정신질환자는 흉악범이나 묻지마 폭행범이 아닙니다. 만성적인 마음의 병을 앓는 사람일 뿐입니다.”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돕는 윤선희 한국사회복귀시설협회 사무총장은 정신질환자에 대한 사회의 차가운 시선에 대해 이렇게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이 과거보다는 다소 해소됐지만, 정신질환을 앓는 사람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기피 현상은 여전하다. 증상이 심할 경우 간혹 가족도 꺼리다 보니 퇴원 후 돌아갈 가정이 없는 이들도 있다. 이런 식의 선입견은 정신 질환자를 위축시키고 사회로부터 고립시켜 다시 설 수 없게 만든다.

정신과 치료를 마치고 퇴원해 사회복귀시설에서 적응 훈련 중인 A씨는 며칠 집에 다녀오려다가 가족들로부터 뜻밖의 통보를 받았다. 이웃집에서 A씨를 보면 함께 사는 줄 알고 이사 가라고 할 지 모르니 시설에 계속 남아 있으라는 것이었다.

윤 사무총장은 “정신질환을 치료하기 이전의 모습만 기억하는 지역주민들은 정신질환 병력이 있는 이웃이 집에 돌아왔다는 것 자체만으로 겁을 낸다”며 “그 동네에서 살기 어려워질까 봐 가족마저 내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정신질환 병력이 있는 B씨는 인력시장에 나가 일일 근로만 한다. 비정규직 아르바이트 자리라도 구할까 했지만, 주변의 시선이 곱지 않아 포기했다. 좀 더 안정적인 일자리를 구해보라고 조언하는 주변 사람들에게 B씨는 “딱 하루만 근무하면 함께 일하는 사람들이 나의 병을 몰라 마음이 편하다”고 말한다.

신체가 불편한 사람들은 취업할 때 자신이 어떤 장애가 있는지를 밝히지만, 정신질환을 앓는 사람들은 대부분 이를 드러내지 않고 일을 한다. 일을 하는 도중 정신질환을 앓았다는 사실이 밝혀지면 쫓겨나기 일쑤다. 본인 스스로 위축돼 일을 제대로 못 하는 경우도 있다.

심지어 휴대전화기를 개통할 때도 차별을 받곤 한다. C씨는 새로 휴대전화기를 장만하려다 거절당한 경험이 있다. 복지카드를 내면 할인을 받을 수 있다는 얘기에 정신장애 2급 복지카드를 냈더니 상점 주인이 “휴대전화기를 개통해주면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한테 뒷말을 듣는다”며 C씨를 빈손으로 돌려보냈다. 휴대전화기를 구입해 간혹 100만~200만원어치 게임 머니를 사는 일도 있어 개통을 꺼리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사회와 가족으로부터 거부당한 정신질환자들은 다시 병원을 찾는다. 병원을 나왔지만 오히려 사는 게 힘들어져 입원과 퇴원, 사회복귀시설 입소를 반복한다. 오해와 냉대의 꼬리표가 늘 따라붙는다.

국립 정신병원인 공주병원의 이영문 병원장은 “정신질환자도 치료를 잘 받으면 자아 통제 능력이 회복돼 폭력성 등을 통제할 수 있어 일반인처럼 일상생활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일반인도 술을 마시면 감정이 격해져 폭력성이 표출되는 것처럼, 정신질환자는 마음의 병으로 통제 능력이 사라져 무의식 속 폭력성이 표출된다. 정신질환자라고 더 많은 폭력성을 갖고 있는 게 아니다. 치료를 잘해 자아 통제가 되면 일반인과 다르지 않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이 병원장은 “원래 마음이 이상한 게 아니라 병으로 통제 능력을 상실한 것이기 때문에 회복만 되면 더불어 살 수 있다. 우리와 같은 사람으로 봐달라”고 당부했다.

2011년 보건복지부의 역학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정신질환 평생 유발률은 27.1%로, 4명 중 1명꼴로 경증~중증의 정신질환을 앓았던 경험이 있거나 현재 앓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정신과 환자 737명을 대상으로 2011년 10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조사 대상의 35.4%가 정신과 질환으로 인해 불이익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으며, 사회적 편견에 시달리거나 보험가입에 제한을 받은 경우가 많았다. 정신과 질환과 관련해 국가나 사회에 대한 요구 사항으로는 치료비 지원 확대가 60.5%로 가장 많았고 사회적 인식 개선, 약 이외의 다른 치료법 개발, 정신질환자에 대한 불이익 개선 등의 요구가 뒤를 이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04-13 2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