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나의 시, 민들레 홀씨처럼 날아가 누군가의 위로되길”

“나의 시, 민들레 홀씨처럼 날아가 누군가의 위로되길”

김승훈 기자
입력 2015-04-02 00:04
업데이트 2015-04-02 00: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태주 시인 등단 44년 맞아 에세이 ‘꿈꾸는 시인’ 펴내

“시는 민들레 홀씨처럼 가벼워서 멀리까지 가야 합니다. 사람들 마음 밭에 뿌리 내려 싹을 틔우고 꽃으로 피어나 용기와 위안을 줘야 합니다.”
이미지 확대
올해로 등단 44년을 맞은 시인 나태주는 “명성을 얻으면 포만감이 생기는데 이를 경계해야 한다”며 “등단했을 때 가슴을 가득 메웠던 외로움, 서러움, 그 목마름을 끝까지 간직해야 한다”고 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올해로 등단 44년을 맞은 시인 나태주는 “명성을 얻으면 포만감이 생기는데 이를 경계해야 한다”며 “등단했을 때 가슴을 가득 메웠던 외로움, 서러움, 그 목마름을 끝까지 간직해야 한다”고 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시인 나태주(71)가 등단 44년을 되돌아보며 시와 사람, 삶에 대한 생각을 정리했다. 최근 출간된 에세이 ‘꿈꾸는 시인’(푸른길)에서다.

이번 에세이는 지난해 전국 초중고와 대학을 돌며 100차례 넘게 한 강연이 밑거름이 됐다. 시인은 ‘묻지마 문학 강연’으로 유명하다. 거리, 강연료, 대상, 주제 네 가지를 묻지 않고 자신을 찾는 곳이면 어디든 간다. 고교에선 전교생이 사인을 해달라고 할 정도로 인기를 모았다. “젊은이들이 꿈도 없고 불행감, 상실감, 결핍 때문에 힘들어했다. 예전엔 부모, 형제뿐 아니라 마을공동체도 있어 그 안에서 위안을 받았는데 지금은 그게 다 해체돼 더 외로워졌다. 시를 통해 위로받고 싶어 하는 젊은이들의 모습을 보니 애달프고 애틋했다. 젊은 세대에게 인생은 아름답다는 걸 알려주고 위로해 줘야겠다는 생각에서 글을 썼다.”

책은 3부로 이뤄져 있다. 시에 대한 이해를 쓴 ‘시 쓰기 전에’, 시의 표현 방법을 다룬 ‘시 쓸 때에’, 시를 쓰고 난 뒤의 감상에 대해 쓴 ‘시 쓴 뒤에’다. 시에 대한 이야기 형식을 빌려 행복하고 아름다운 삶을 피력했다. 시인은 “아름다움은 사람과의 관계에서 나온다. 혼자 잘났다고 하면 하나도 아름답지 않다. 서로 연결 고리 속에서 아름다울 때 진짜 아름다운 것”이라고 했다.
이미지 확대


하나의 글마다 함께 읽는 시도 한 편씩 실었다. 서정주, 백석, 박목월, 한용운, 에밀리 디킨슨, 로버트 프로스트 등 국내외 시인들 작품이다. 시인은 “좋아했던 시인 가운데 작고한 시인들 시만 실었다”고 했다. “살아 있는 시인은 아직 시인이 아니다. 죽어야 시인이 된다. 저도 시인이 아니다. 생존한 시인들은 스스로 평가를 한다. 진정한 평가는 시인 자신이 하는 게 아니라 후세의 모르는 독자들이 하는 것이다.”

197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대숲 아래서’가 당선되며 등단한 그는 “시인은 자기가 속한 집단의 대변자”라고 했다. 충남 서천의 시골 출신인 그는 등단 이후 20년은 한미한 집단의 젊은이의 실연과 실패를 대변하는 시를 썼다. 이후 20여년은 남녀노소 모두가 느낄 수 있는 정서적인 공통분모를 찾는 대변인으로 살아왔다. 후반 20년의 대표작이 ‘풀꽃’이다.

그간 시집만 35권을 냈다. 그를 지탱해준 힘은 ‘헝그리’ 정신이다. “아직도 목마르고 가야 할 길이 멀고 누군가 그립다. 박목월 선생은 시 정신의 원천을 영혼의 목마름에 있다고 했다. 맞는 말씀이다. 등단 때 힘이 된 ‘헝그리’ 정신을 지금까지 간직하고 있다.”

시인은 “시는 대학교수, 평론가 등 시를 잘 아는 사람이 아니라 모르는 사람을 위해 써야 한다”며 “진짜 필요한 시는 대학교수나 평론가가 아니라 독자들이 좋아하는 시”라고 했다. 그는 오늘도 기도한다. ‘나의 시여, 될 수 있으면 멀리 가 그 자리에 싹을 틔우고 꽃을 피워라. 내가 젊어서 어려웠을 때 어깨를 짚어주고 이마를 쓰다듬어주며 용기를 준 누군가의 시처럼 나의 시도 가능하면 멀리까지 가 힘든 사람에게 용기와 위로를 주라’고.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4-02 2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