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상회’로 돌아온 ‘천만 감독’ 강제규

달랑 778명.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이 공식 집계한 관객 숫자다. 참담한 흥행 결과다. 그런데 의아하다. 감독은 그 영화 얘기를 하며 연신 싱글거린다. 흔히 일컫는 ‘1000만 영화감독’의 자존심에 커다란 생채기가 났을 법도 한데 아랑곳하지 않는다.
지난 27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한 찻집에서 만난 강제규 감독은 “영화감독으로 만듦새 자체를 가늠할 수는 있지만, 관객들의 느낌과 판단은 가늠 대상이 아니라고 생각해 영화 흥행에 대한 전망 자체는 이젠 접었다”며 “우리 영화인들이 관객의 취향과 트렌드를 못 쫓아가는 것은 엄연한 현실”이라고 말했다.<br>빅픽쳐·CJ엔터테인먼트 제공


“사실 이제껏 영화를 찍고 나면 잘 만들었다는 느낌을 갖지 못하고 늘 단점만 보입니다. 그런데 이 작품은 다르더라고요. 만들고 나서 참 좋더라고요. 늘 하고 싶었던 작업이었으니까…. 지금도 가끔씩 영화를 꺼내 봅니다. 스스로 후하게 평가하죠. 하하.”

강제규(53) 감독이다. 그리고 그가 지난해 말 내놓았던 26분짜리 단편영화 ‘민우씨 오는 날’(이하 ‘민우씨’) 얘기다. 지난 27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한 찻집에서 만난 강 감독은 “단편은 단편만의 맛이 있다”면서 “홍콩국제영화제 측에서 먼저 제안받고 일주일 만에 시나리오를 썼는데, 회사 직원들이 일제히 만류하더라. 제작지원비 5만 달러가 턱없이 작다고…”라며 말을 이어 갔다. ‘민우씨’는 고수, 문채원, 그리고 이동준 음악감독 등과 함께 작업했다. 그는 “이 음악감독에게 ‘지금까지 당신이랑 같이해 왔던 여러 작품 중에서 이번 음악이 제일 좋다’고 말하기도 했다”며 배시시 웃었다.

실제 ‘민우씨’는 그동안 알고 있는 강 감독의 작품과 결이 달랐다. 강 감독이야 ‘은행나무침대’(1996), ‘쉬리’(1999), ‘태극기 휘날리며’(2004) 등 영화계에서 대작 감독이자 흥행의 아이콘과 같은 존재다. 다루는 소재와 주제 역시 선 굵은 역사가 주를 이뤄 왔다.

강 감독은 “역사 혹은 역사 인물이 아니라 아버지, 엄마 등 지금 이 땅을 함께 밟고 있는 나와 주변 사람의 이야기를 하고 싶다는 갈증이 컸다”고 말했다. 그는 ‘민우씨’에서 분단으로 인한 이산가족의 간절한 삶과 사연을 절제된 감성과 영상미 넘치는 화면 안에 담았다. 역사적 소재이면서 현재 우리 주변에 있을 법한 이야기다. 대형 역사물에서 오는 9일 개봉하는 ‘장수상회’(사진 아래) 같은 잔잔한 감성이 담긴 드라마로 넘어올 수 있는 징검다리와도 같은 역할이 된 셈이다. ‘장수상회’는 각자 아픔을 가슴속에 묻어 둔 70대 할머니, 할아버지의 풋풋한 사랑을 그리고 있다. 그리고 부모와 자식 사이의 애틋함도 함께 담았다.


‘장수상회’는 그가 시나리오를 쓰지 않고 연출을 맡은 두 번째 작품이다. 왜 다른 사람이 쓴 시나리오로 연출하는 것을 꺼렸던 걸까.

그는 “남이 만든 세계를 나의 것으로 만들 수 있을까 하는 두려움이 컸지만 요즘에는 연출로서 사건과 인물, 인물관계 등을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작업을 치열히 하다 보니 내가 낳은 자식처럼 애착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렇게 만들어 낸 ‘장수상회’여서인지 살가운 애정도 감추지 않고 드러냈다. 강 감독은 “그동안 작품의 메이킹 필름을 보면 웃는 모습이 전혀 없었는데, 이번에는 많이 재미있고 행복하게 촬영해서인지 잘 웃곤 하는 모습이 자주 보이더라”고 말했다.

시나리오 원작자가 따로 있는 첫 연출 작품은 2011년 ‘마이웨이’였다. 그에게는 아픔이 있는 영화다. 280억원의 순제작비를 들여 만든 대작이었지만 214만명의 관객이 드는 데 그쳤다. 벌써 꼬박 4년이 흘렀건만 ‘마이웨이’ 얘기가 나오자 겸연쩍어하는 표정이 스쳤다. 그의 걱정과 미안함은 투자자들에게 향했다. 그는 “내가 돈이 있으면 갚아 주고 싶을 정도였다”며 “시장에서 장사하는 집 아들이어서 그런지 손실을 끼쳤다는 생각에 되게 미안했고 그 씁쓸함이 오래갔다”고 말했다.

이렇듯 시련과 실패는 사람을 성숙하게 만든다.

“성격이 급해서 에둘러 돌아가기보다 직선으로 질주하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나이를 먹으면서 오히려 시간이 거꾸로 흐르는 느낌을 받았어요. 천천히 가면 그동안 못 봤던 게 보이죠. 이제 흥행에 대한 부담도 ‘거의’ 없습니다. 그저 투자자에게 손해만 끼치지 않으면 좋겠다는 마음 정도죠.”

그는 1984년 중앙대 연극영화과 4학년 때 조연출로 영화판에 처음 발을 내디딘 뒤 연출, 제작자, 시나리오 작가의 영역을 넘나들고 있다.

강 감독은 “연출, 제작의 역할은 많이 닮았고, 또 많이 다른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제작자로서 영화 프로듀싱을 하다 보면 감독의 자리에 있는 나를 객관적으로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며 “앞으로도 두 역할을 모두 적극적으로 병행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강 감독은 이달 초 제주도에서 촬영을 시작하는 중국 영화 ‘나쁜 놈은 반드시 죽는다’의 총괄 프로듀서로 참가한다. 감독으로서 품이 더 넓어지고 깊어졌음을 여실히 느끼게 한다.

“앞으로 공상과학(SF) 영화도 찍고 싶고, 더 근사한 시나리오도 쓰고 싶고, 안 해 본 것들을 다 하고 싶어요.”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