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판소리, 감정 흔드는 뭔가 있어” 재일교포 연출가의 창극 도전

“판소리, 감정 흔드는 뭔가 있어” 재일교포 연출가의 창극 도전

김승훈 기자
입력 2015-03-02 23:52
업데이트 2015-03-03 03: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카서스의 백묵원’ 연출 정의신

“한국 판소리엔 사람의 감정을 흔드는 뭔가가 있습니다. 서양 작품과 한국 판소리가 어떻게 융합되는지를 보여 주고 싶었습니다. 한 사람의 한국인으로서 그 뭔가를 얻길 바랍니다.”

이미지 확대
정의신 극작자 겸 연출가
정의신 극작자 겸 연출가
2008년 한·일 합작연극 ‘야끼니꾸 드래곤’으로 한·일 양국에 파란을 일으켰던 재일교포 극작가 겸 연출가 정의신이 창극으로 돌아왔다. 서사극 창시자로 불리는 브레톨트 브레히트의 ‘코카서스의 백묵원’을 원작으로 한 작품으로, 창극 도전은 처음이다.

2일 서울 중구 장충동 국립극장에서 창극 ‘코카서스의 백묵원’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정 연출가를 비롯해 안호상 국립극장장, 김성녀 국립창극단 예술감독, 김성국 음악감독, 출연 배우들이 참석했다. 정 연출가는 “영화 서편제 주인공 오정해씨와 노래방에 갔는데 그의 노래를 듣고 사람의 감성을 흔드는 뭔가를 느꼈다”며 “독특한 창법의 판소리를 어떻게 창극화할지 고민을 많이 했다”고 했다.

‘코카서스의 백묵원’은 한 아이를 놓고 벌어지는 두 여인의 양육권 다툼을 그렸다. 전쟁 통에 친자식을 버리고 도망쳤지만 유산 때문에 아이를 되찾으려는 영주 부인 나텔라와 버려진 아이를 자식으로 거둬 정성껏 키운 하녀 그루셰, 두 여인의 양육권 분쟁이 뼈대다. ‘백묵의 원’, ‘하얀 동그라미’ 등 여러 제목으로 연극화된 적은 있지만 창극화는 처음이다. 정 연출가는 “생활고에 시달려 자식을 버리는 사건이 만연한 현시대에 진정한 모성애의 메시지를 전하고 싶다”며 “이 작품은 기본적으로 비극이지만 작품 곳곳에 웃을 수 있는 요소를 넣으려 노력했다”고 했다.

원작의 등장인물들을 재해석했다. 창극의 전통적인 도창 개념을 도입하기 위해 원작의 가수 역할을 재판관 아츠닥에게 부여했다. 원작에선 남자인 이 배역을 여배우가 맡게 했다. 정 연출가는 “원작과 전반적으로 흐름은 같지만 중간에 생략된 부분이 있고 결론은 완전히 다르다. 원작은 마지막이 파티 장면으로 끝나지만 이번 작품에선 전혀 다르다. 작품을 봐 달라”고 당부했다.

최용석·조유아 국립창극단 인턴단원을 남녀 주인공 시몬·그루셰 역에 발탁한 점도 눈에 띈다. 김성녀 예술감독은 “어려운 서민들의 이야기를 즐겁게 풀어가고 밑바닥에서 애쓰는 어린 후배들과 작품을 하려는 정 연출가의 정신이 이 작품에도 잘 녹아 있다”며 “서민 같은 친근한 주인공을 찾겠다며 주연을 인턴배우에게 넘겼다”고 설명했다.

정 연출가는 ‘야끼니꾸 드래곤’, ‘봄의 노래는 바다에 흐르고’, ‘나에게 불의 전차를’ 등 여러 연극을 히트시키며 흥행과 작품성이 보증되는 연출가로 자리 잡았다. 오는 21~28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공연된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3-03 2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