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특파원 칼럼] 고토가 그랬던 것처럼/김민희 도쿄특파원

[특파원 칼럼] 고토가 그랬던 것처럼/김민희 도쿄특파원

김민희 기자
입력 2015-02-13 18:06
업데이트 2015-02-13 22: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민희 도쿄 특파원
김민희 도쿄 특파원
“눈을 감고, 꾹 참는다. 화가 나면 고함지르는 것으로 끝. 그것은 기도에 가깝다. 증오는 사람의 일이 아니며, 심판은 신의 영역. 그렇게 가르쳐 준 것은 아랍의 형제들이다.”

이슬람국가(IS)에 의해 살해된 일본의 프리랜서 언론인 고토 겐지가 5년 전 트위터에 남긴 글이다. 지난 1일 그의 살해 동영상이 공개된 전후로 이 글은 계속 리트윗되며 추모 열기가 이어지고 있다.

앞서 참수당한 유카와 하루나보다 고토에 대한 일본인들의 안타까움이 조금 더 큰 것은 그가 중동 분쟁 지역의 참상을 전하려고 애써 왔기 때문일 터다. 현지 사람들과 얘기를 나누고 부대끼며 중동을 이해하려 했던 그의 노력을 높이 산 것이다.

지난달부터 IS의 일본인 인질 사태를 지켜보면서 내내 참담한 마음이었다. IS는 테러 조직임이 분명하지만, 그들을 ‘절대악’으로 치부하고 고개를 돌릴 것만은 아니다. IS 탄생의 이면에는 11~13세기 십자군전쟁 이후로 이어져 온 서방과 이슬람 간 반목의 역사가 있다. 현실을 직면하기 위해서는 ‘이해하려는 마음’이 필요하다. 이해하려는 마음을 가졌던 언론인, 고토의 죽음이 더욱 아쉬운 것은 그래서다.

이해심이란 단어가 머리에 떠오르자 한·일 관계까지 생각이 미쳤다. 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임에도 한·일 관계가 지지부진한 것은 서로를 이해하려는 마음이 부족하기 때문 아닐까.

얼마 전 한 일본 정부 당국자와 얘기를 나누며 이것을 실감했다. 그는 고노 담화나 아시아여성기금 등 그간 일본의 노력이 한국에서 전혀 평가받지 못했다면서 “이 문제가 최종적으로 끝났다는 보증이 없이 수뇌부에 뭔가를 제안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했다. 금전적 배상을 요구하지 않겠다는 김영삼 전 대통령의 1993년 발언, 1998년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 뒤에도 2011년 헌법재판소의 ‘위안부 문제 방치 위헌’ 결정처럼 계속 바뀌는 한국이 못 미덥다는 것이다. 이것이 위안부 문제에 대해 고민하는 일본인의 합리적인 인식일 것이다.

한국의 입장에서 보면 어떤가. 일본은 “몇 번이고 사죄하지 않았냐”고 하지만,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일본 정치인들의 발언을 보노라면 진심으로 받아들여야 할지 확신이 도저히 없다.

아베 신조 총리만 봐도 그렇다. ‘아베 담화’를 놓고서 당초 “역대 담화의 내용을 ‘전체적으로’ 계승한다”고 했다. 그러다 지난달 25일에는 “지금까지 (역대 담화에 담긴) 문언을 쓰느냐 마느냐가 아니라 아베 정권이 어떻게 생각하느냐의 관점에서 (담화를) 내겠다”면서 기존 담화의 핵심 문구를 답습하는 것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도대체 어디까지 믿어야 할지 모르겠다. 이것이 일본의 당국자가 이해하지 못한 한국의 입장이다.

이런 인식차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고토가 그랬던 것처럼 상대방을 이해하려는 마음이 필요하다. 고노 담화는 ‘검증’이라는 명목으로 만신창이가 됐고, 아시아여성기금은 ‘속죄금이냐 위로금이냐’라는 논란으로 잊혀지고 말았다. 한국에서도 김영삼·김대중 전 대통령의 미래지향적인 결단이 빛이 바랜 채 일본에 대한 날 선 감정적 비판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일본은 같은 노력을 계속하지 않으면 안 된다. 고개를 돌리고 외면하기에 두 나라는 너무 가깝기 때문이다.

haru@seoul.co.kr
2015-02-14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