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학 속 죽음 삶의 가치를 말하다

문학 속 죽음 삶의 가치를 말하다

김성호 기자
입력 2015-02-06 18:08
업데이트 2015-02-06 18: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한성에 관한 사유들/빅터 브롬버트 지음/이민주 옮김/사람의무늬/336쪽/1만 5000원

‘모든 예술과 예술에 대한 사랑은 우리가 우리의 유한성을 부정할 수 있게 해 준다’(앙드레 말로). 이 말처럼 세상의 많은 작가들은 인간의 유한함, 즉 죽음에 대해 사유하고 표현한다. 그리고 그것이 비관적이건 낙관적이건 작가들이 사유하고 전하는 유한함의 의미는 독자 개개인의 존재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마련이다. 그렇다면 세계적으로 명성을 떨쳤던 유명 작가들은 인간 존재의 유한성을 어떻게 바라보고 넘었을까.

이미지 확대
‘유한성에 관한 사유들’은 바로 그 죽음에 관해 오래 사유하고 작품에 담아 온 대표 작가 8명을 통해 들여다본 인간 존재의 의미록쯤으로 읽힌다. 미국 프린스턴대 명예교수(비교문학)이자 제2차 세계대전 참전 용사였던 저자가 죽음에 얽힌 개인 경험에 얹어 깊이 있게 천착한 작가는 톨스토이, 토마스 만, 프란츠 카프카, 버지니아 울프, 알베르 카뮈, 조르조 바사니, J M 쿠체, 프리모 레비. 모두 19, 20세기를 대표할 만한 이들이다.

작가가 살았던 시대와 작품 속 배경은 각각 다르지만 책 속에서 한 줄로 꿰어지는 굵은 구슬은 이렇게 결정지어진다. ‘인간은 언젠가 죽음을 맞을 수밖에 없는 존재의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유한하다고 해서 우리 존재와 삶이 무가치한 것은 아니다’

물론 저자가 작품을 넘나들며 골라낸 그 표현의 뉘앙스는 아주 다양하다. 그리고 때로는 극적인 대조를 이루기도 한다. 톨스토이의 이반 일리치(‘이반 일리치의 죽음’)나 토마스 만의 아센바흐(‘베네치아에서의 죽음’)처럼 죽음에 맞서 사투를 벌이는 개인의 모습이 있는가 하면 조르조 바사니(‘핀치 콘티니가의 정원’), 알베르 카뮈(‘이방인’ ‘페스트’), 프리모 레비(‘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지금이 아니면 언제’)의 작품 속 주인공을 통해 펼쳐지는 한 문명의 죽음도 인상적이다. 유대인 수용소 아우슈비츠를 빈번하게 작품에 담았던 레비는 서서히 굶어 죽어 가는 사람들과 가스실이라는 끔찍한 현실 속 생존 메시지를 강하게 전달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수십 년간 죽음이란 주제의 문학작품을 통해 위안을 얻고, 또한 그 때문에 불편한 마음을 감내해온 문학 교수가 내놓은 인상 깊은 명상록.’ 작가 토마스 라쾨르의 평대로 어린 시절 겪은 죽음에 대한 인상과 참전의 기억 등 저자 개인 삶의 흔적들로 해서 감동이 따르는 문학비평서다. 물론 책 속의 다양한 죽음에서 얻는 존재의 의미와 교훈, 그리고 삶 속에서의 적용 방식은 독자 개개인의 몫이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5-02-07 16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