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안부 듣던 이에서 묻는 이로… 멈출 수 없는 희망 나눔

안부 듣던 이에서 묻는 이로… 멈출 수 없는 희망 나눔

입력 2014-12-22 00:00
업데이트 2014-12-22 02: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홈리스 활동가 이종대·김종언씨

“그때 서울역 광장에 대형 TV가 있었거든요. 난 거기서 봤어요.” “난 2003년에 (집을) 나왔으니까 월드컵은 집에서 봤어. 하하하.”

이미지 확대
21일 오후 서울역 광장에서 열린 ‘2014 홈리스 추모제’. 노숙자 인권단체인 ‘홈리스행동’이 거리에서 스러진 노숙인들의 영혼을 위로하고자 매년 동짓날 여는 추모제가 벌써 14회째를 맞았다.

추모제를 준비한 홈리스행동 활동가 이종대(사진 왼쪽·57)씨와 김종언(48)씨에게 2002 한·일월드컵은 ‘4강 신화’로 기억되지 않는다. 노숙인에게는 역사적인 사건들도 그저 ‘집’과 ‘밖’의 경계에서, ‘어디서 봤느냐’로 기억될 뿐이다.

이씨와 김씨는 각각 4년, 2년여 동안 노숙생활을 했다. 한때는 ‘잘나가던’ 시절이 있었다. 이씨는 26년 경력의 철골 전문 용접공이었다. 1980년대 초반 선경종합건설(현 SK건설)에 입사해 한 달에 300만원이 넘는 큰돈을 만지기도 했다. 김씨는 플라스틱 사출 공장에서 완구류 등을 찍어내는 일을 했다.

그들은 왜 거리로 나갔을까. 둘은 ‘희망을 잃은 탓’이라고 했다. 1994년 이씨는 이혼으로 아내와 딸과 헤어졌다. “다리도 다쳐 일을 못하게 되고부터는 희망을 잃었죠.” 외환위기로 일하던 공장이 문을 닫은 뒤로 인력사무소를 전전하던 김씨도 마찬가지다. “일 있는 날이 한 달에 5일이 될까 말까 했어요. 돈벌이가 안 되니까 부모님한테는 ‘지방에 내려간다’고 하고선 집을 나왔죠.”

두 사람이 노숙 생활을 벗어날 수 있었던 데는 홈리스행동의 전신 노숙인복지와인권을실천하는사람들(노실사)의 도움이 컸다. 둘은 ‘안부를 듣던 사람’에서 ‘묻는 사람’이 되었다. 홈리스행동 ‘인권지킴이’로 활동하며 일주일에 한두 번 노숙인들에게 따뜻한 차를 나눠 주고 침구류와 세면도구 등을 챙기는 한편 자활 근로를 알선한다.

하지만 거리의 삶은 이들이 노숙했던 10여년 전보다 팍팍하다고 했다. 그래도 멈출 수는 없다. “계속 얼굴을 익혀 형처럼 동생처럼 안부를 물으면 마음을 열어요.” 이씨는 “노숙인에게는 첫째도 주거, 둘째도 주거다. 일단 노숙인에게 주거를 안정시켜 준 뒤 자활의지를 불어넣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글 사진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4-12-22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