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과 극 중 인물로 살기 배우들은 어떻게 버틸까

수많은 영화가 만들어지고 다양한 방식으로 소비되는 시대지만 영화를 만드는 이들에 대한 궁금증은 쉽게 풀리지 않는다. 특히 영화마다 다른 사람으로 거듭나는 배우라는 존재는 종종 놀랍고 신비롭게 느껴진다. 대본 속 인물에 완전히 빠져들어 잠시 그의 인생을 살아 본 다음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왔다가 곧 또 다른 인물이 될 준비를 해야 하는 불안정한 삶을, 그들은 어떻게 버텨 내고 있는 것일까. 자신과 극 중 캐릭터 사이의 거리를 좁히고 또 넓히는 과정에서 그들의 영혼은 과연 안녕할 수 있을까.

‘클라우즈 오브 실스 마리아’는 다양한 인생을 맛볼 수 있다는 즐거움 이면에 나와 전혀 다른 캐릭터를 연기해야 한다는 압박감으로 초조해져 가는 한 여배우(마리아 엔더스)의 현실적인 고통을 들여다보게 해 준다. 마리아의 경우 그 고통은 흘러간 세월에 대한 두려움 및 시대 변화에 대한 거부감과 단단하게 결부돼 있기에 이 영화는 한편으로는 평범한 40대 여성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18살에 ‘말로야 스네이크’의 ‘시그리드’ 역으로 데뷔한 마리아는 같은 공연의 ‘헬레나’로 출연해 달라는 제의를 받는다. 원작자와 연출가는 헬레나가 시그리드의 20년 후의 모습이며 동일 인물이라고 말하지만 마리아는 어린 시그리드를 맹목적으로 사랑하다 버림받는 헬레나를 도저히 이해할 수 없어 혼란스러워한다. 영원히 매력적인 10대로 기억되고 싶은 욕망, 그리고 현재 자신의 모습과 묘하게 중첩되는 헬레나에 대한 증오 때문에 마리아는 점점 날카로워진다. 배우이자 한 여성으로서 마리아가 겪는 번민은 그녀의 비서 발렌틴과의 위태한 관계를 통해 표면화된다. 똑똑하고 예쁜 발렌틴을 누구보다 믿고 의지하면서도 작품 해석이나 영화에 대한 관점을 달리하는 그녀에게 마리아는 질투와 동경을 느낀다. 발렌틴의 진지한 의견에 비아냥거리거나 공격적인 태도로 반응하는 장면들은 마리아의 미성숙함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그러나 영화는 이러한 과정이 그녀에게 인간으로서, 배우로서 도약의 기회를 주고 있음을 암시한다. 결말부에 등장하는 젊은 영화감독은 마리아의 야무진 선입관을 무장 해제 시키고 희망을 남기는 일종의 직인과도 같다. 여성의 감수성을 묘사하는 데 탁월한 감각을 발휘해 왔던 올리비에 아사야스 감독은 무대에 올라간 마리아의 단독 샷으로 이야기를 맺는다. 애수와 각성, 미소가 공존하는 그녀의 표정에서 영화는 끝나지만 이제 연극은 비로소 시작될 것이다. 현실과 극 중 인물 사이에 선을 긋는 대신 수레바퀴처럼 순환하며 그렇게 배우는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아닐까.

쥘리에트 비노슈는 배우를 ‘연기’했을 뿐 아니라 희곡의 인물 속으로 한층 더 들어가야만 하는 위험하고도 멋진 모험을 감행했다. 한없이 예민한 마리아 캐릭터는 그녀의 타고난 재능 위에 치열한 고민과 부단한 노력까지 더해져 완성됐을 것이 분명하다. 크리스틴 스튜어트, 클로이 머레츠 등 할리우드 신성들의 반짝이는 연기에도 아낌없는 갈채를 보낸다. 18일 개봉. 15세 관람가.

윤성은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