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세종로의 아침] 2014년 대한민국은 ‘전미개오’ 했나/최병규 체육부 전문기자

[세종로의 아침] 2014년 대한민국은 ‘전미개오’ 했나/최병규 체육부 전문기자

입력 2014-12-02 00:00
업데이트 2014-12-02 04: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최병규 체육부 전문기자
최병규 체육부 전문기자
2014년 갑오년도 꼭 한 달이 남았다. 올 연말연시에도 사자성어가 홍수처럼 넘쳐날 게 뻔하다. 정치인을 비롯한 유명 인사들이 앞다퉈 신년인사로 네 음절의 한자로 만든 올해의 사자성어를 쏟아낼 것이다.

중국 글자인 한자는 그 자체가 어렵기도 하거니와 사자성어가 중국의 옛이야기에서 비롯된 말들이다 보니 상호 간 지적 수준이 맞지 않으면 읽거나 듣는 순간 뒤통수를 맞는 듯한 찰라의 깨달음을 얻기가 쉽지 않다.

그런데도 마치 달력에 표시해 놓은 것처럼 12월만 되면 사자성어가 유행처럼 번지는 건 한 해를 보내며 백 마디는 족히 해야 풀어 버리고 앞으로 경계해야 할 온갖 것들을 불과 네 음절로 짧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미개오’(轉迷開悟). 이 나라 최고 통수권자도 올해 초 신년 기자회견에서 지난해 말 대한교수협회가 선정한 2014년 사자성어를 어떻게 보느냐는 한 기자의 질문을 받고 “나라와 국민을 제외하고는 모두 번뇌다. 국민의 행복을 최우선으로 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다소 확대해석이긴 했지만 신년 덕담치곤 그럴듯했다.

그러나 4개월 뒤 세월호 앞에서 이 훌륭한 사자성어는 거꾸로 갔다. 벗어나 깨달음을 얻기는커녕 수백 명의 목숨을 실은 배처럼 더 큰 혼란 속으로 빠져들었다. ‘해피아’도 모자라 ‘관피아’까지 온통 ‘~피아’투성이였다. ‘미궁 속의 7시간’을 둘러싼 주한 일본 특파원과의 힘겨루기에 이어 최근에는 대통령 비선 실세의 청와대 비밀 문건 유출 사건도 터져 나왔다. 일년은 그야말로 혼란의 릴레이 특집이었다.

나라님 주변이 어수선한데 다른 분야, 특히 스포츠계야 더 말할 것도 없었다. 나라 안팎에서 세 차례의 굵직한 스포츠 이벤트가 열렸지만 국민들의 시선을 제대로 끌지 못했다. 브라질월드컵에서 당한 축구대표팀의 참혹한 조별리그 1무2패는 한국 축구를 짊어질 홍명보라는 대들보를 하루아침에 역적으로 내몰았고, 개회식부터 망신을 당한 인천아시안게임은 대회 기간 내내 투덜거림 끝에 부랴부랴 ‘인천극장’의 막을 내렸다.

이번엔 지난 8년 동안 공들여 유치한 2018평창동계올림픽을 둘러싸고 말들이 많다. 지난달 24일 강원도와 강원국회의원협의희, 강원도의회가 재정 부담을 덜기 위한 국내 일부의 대회 공동 개최 여론에 반발, “국고를 더 풀라”며 “그렇지 않으면 대회 반납도 불사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이튿날 일본 산케이신문은 옆집 싸움 구경하듯 빙상경기장 공정률 3%를 들먹이면서 “이참에 대회를 반납하는 게 어떠냐”며 부채질을 해 댔다.

거꾸로 가도 이런 거꾸로가 없다. 8년을 유치에 쏟아붓고 남은 4년을 시작하면서 반납 운운하는 건 어불성설이요, 교수협회가 2013년 마무리 사자성어로 정한 ‘도행역시’(倒行逆施·도리에 맞지 않게 거꾸로 행함)다.

30일 뒤 올 한 해를 정리하면서 발표될, 그리고 또 한 해를 맞이할 사자성어가 벌써부터 궁금해진다. 아무래도 좋으니 우이독경(牛耳讀經·쇠귀에 경 읽기), 혹은 신부족상(信斧足傷·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만 아니면 좋겠다. 새해 사자성어는 광풍제월(光風霽月·비 갠뒤 맑은 바람과 달처럼 깨끗한 온 누리가 깨끗한 형상)이면 어떨까. 비록 2008년 리바이벌 버전이긴 하지만 말이다.

cbk91065@seoul.co.kr
2014-12-02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