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글로벌 시대] 디지털 르네상스 운동이 필요하다/정지훈 경희사이버대 모바일 융합학과 교수

[글로벌 시대] 디지털 르네상스 운동이 필요하다/정지훈 경희사이버대 모바일 융합학과 교수

입력 2014-12-01 00:00
업데이트 2014-12-01 00: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지훈 경희사이버대 모바일 융합학과 교수
정지훈 경희사이버대 모바일 융합학과 교수
최근 미국에서 출간된 책 가운데 눈에 띈 책이 하나 있다. 폴 밀러와 엘리자베스 마시가 공저한 ‘일의 디지털 르네상스’라는 책으로 책의 내용도 내용이지만 ‘디지털 르네상스’라는 단어가 강하게 마음에 와 닿았다.

르네상스는 유럽 문명사에서 14세기부터 16세기 사이에 일어난 문예부흥 운동을 말하는 것으로, 과학 혁명의 토대가 만들어져 중세를 근세와 이어 주는 중요한 역사적 시기라고 흔히 이야기하지만, 다른 측면으로는 신 중심에서 사람 중심으로 생각이 바뀌는 지적 흐름을 의미한다. 필자는 ‘디지털 르네상스’를 이런 측면에서 해석하고자 한다. 즉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커다란 사회 변화를 만들어 내지만, 결국 사람 중심으로 이해하고 바라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사회는 기술 발전에 맞춰서 점점 진화한다. 문제는 그 속도다. 기술과 사회의 변화 속도가 기존의 비즈니스 구조가 따라잡기 어려운 상황이 될 경우 기존의 시스템이 파괴될 수밖에 없다. 특히 최근 연결된 소비자들이 연결된 시장에 대한 변화를 주도하는 상황이 많이 나타나는데, 이때 필연적으로 잘 연결된 대중들과 상대적으로 그렇지 못한 대중들 사이의 양극화가 소비자와 공급자 모두에게서 발생하게 된다. 정보와 지식이 소비자들에게 권력을 가져다 주면서 나타나는 현상들도 주목해야 한다. 강한 힘을 가지게 된 소비자들은 과거보다 많은 것을 알고 요구하는 것이 더 많아진다.

간혹 기술에 대해 과도한 집착이 피로로 이어지는 경우도 관찰된다. 기술은 우리가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게 만들거나 어떤 일이 쉽게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주지만, 인간이 나약하기 때문인지 너무 쉽게 어떤 새로운 기술에 사로잡혔다가 그 다음의 기술에 다시 우루루 몰려가는 일이 반복되면서 기술의 변화에 대한 피로감을 호소하는 사람들도 최근 늘어가는 것 같다.

기술이 혁신적이라고 하더라도 우리가 하려는 어떤 것에 대한 비전을 보여 주지 못한다면, 사람들에게 어떤 가치를 안겨주지 못한다면 그것은 잊혀지거나 사라지는 운명이 될 수밖에 없다. 사람들이 기술을 어떻게 이해하고, 이것이 인간의 행위를 어떻게 변화시키며, 어떤 가치를 만들어 내고, 기술에서 무엇을 기대하게 되는지가 무척이나 중요하다. 기술이 어떤 것을 보다 자연스럽게 만들어 주는 것에 기여하거나 기존의 문제를 해결할 것인지 여부는 기술의 문제라기보다는 인간의 문제일 가능성이 많다. 먼저 인간을 이해하고, 인간의 가능성을 확대하며, 인간들이 모여 있는 사회의 시각에서 기술을 바라보는 시도를 자꾸 해 봐야 한다. 그것이 바로 ‘디지털 르네상스’ 운동이 필요한 이유다.

최근 소셜과 모바일 기술이 각광받는 이유는 뭘까? ‘디지털 르네상스’적으로 해석한다면 소셜과 모바일은 과거의 어떤 기술보다 사용하는 사람들의 위계질서를 없애 주며, 사람들이 연결되고 공유하는 과정을 평등하게 만들어 주고 있다는 점이 핵심이 아닐까? 물론 이 과정에서 부작용들도 나타난다. 끼리끼리 모이는 현상도 강화되고, 쉬운 연결과 확산으로 인해 침소봉대되는 것도 많으며, 사람들의 프라이버시와 같이 소중한 가치들이 훼손되는 경우도 늘고 있다. 그렇지만 긍정적인 효과가 더 크기 때문에 이를 사회가 받아들이는 것이다. 앞으로 우리가 보게 될 다양한 신기술들도 이런 사회적 가치와 인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지 않는다면 그냥 사람들을 미혹시키는 환각 약물과도 같은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과학이나 기술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에 더욱 신경 써야 하는 이유다.
2014-12-01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