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오늘의 눈] 쉬쉬하며 떠나는 에볼라 의료진/이현정 정책뉴스부 기자

[오늘의 눈] 쉬쉬하며 떠나는 에볼라 의료진/이현정 정책뉴스부 기자

입력 2014-12-01 00:00
업데이트 2014-12-01 00: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현정 정책뉴스부 기자
이현정 정책뉴스부 기자
“에볼라가 창궐하는 나라에 의료진을 보낸다니 다 같이 죽자는 말이냐.”

에볼라 확산을 막고자 우리 의료진을 서아프리카 시에라리온에 파견한다는 기사에 누리꾼들이 단 댓글이다. 에볼라 의료진(긴급구호대) 파견이 가시화되면서 이런 막연한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심지어 ‘감염되면 돌아오지 마라’는 댓글도 여러 개가 달렸다. 죽어 가는 생명을 구하겠다며 용기 있게 자원한 의료진은 떠나기도 전에 ‘에볼라 예비 감염자’라는 낙인이 찍혔다. 정부는 급기야 전 언론사에 협조 공문을 보내 에볼라 의료진의 명단을 공개하지 말아 달라고 요청했다. 전국 감염내과 의사들도 자신의 파견 여부를 묻는 말에 입을 굳게 닫았다. 마땅히 격려를 받으며 떠나야 할 10명의 의료진은 냉대 속에 오는 13일 시에라리온행 비행기에 몸을 싣는다.

시에라리온 파견에 자원했던 한 감염내과 전문의는 “정부가 파견 여부에 대해 ‘노코멘트’하라고 지시하지 않았어도 아마 가시는 분들은 주위 시선이 무서워 스스로 말을 아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명단이 알려지면 환자가 떨어질 수 있어 병원의 우려도 크다”고 전했다.

실제로 2009년 신종플루 유행 당시 신종플루를 전담해 치료하던 대학병원 의사의 신상이 공개되자 학부모들이 우리 아이에게 신종플루가 옮으면 어떻게 하느냐고 항의해 그 의사의 자녀가 학교를 못 나간 일도 발생했다. 사스가 유행했던 2003년에는 정부가 서울의 한 병원을 사스 환자 격리 병원으로 지정하자 인근 주민들이 들고일어나 병원 지정 자체가 무산된 적도 있었다.

보건복지부의 한 관계자는 30일 “국공립병원 병원장마저 지나가는 말로 ‘파견 의료진 명단이 공개되면 혹시 환자들이 오해할까 봐 걱정된다’고 하는데, 민간 병원은 오죽하겠느냐”고 고충을 토로했다.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을 ‘집단 노이로제’라고 진단한다. 신종 감염병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커 일어나지도 않은 일에 과도하게 반응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과민반응’으로 치부할 일도, 우리 국민 의식이 성숙하지 않았다고 욕할 일도 아니다. 의료진 파견은 박근혜 대통령이 10월 16일(현지시간) 이탈리아에서 개최된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전체회의에서 “인도적 차원에서 한국 보건의료 인력 파견을 결정했다”고 밝힌 지 하루 만에 전격적으로 추진됐다. 자칫하면 나라 전체가 위험에 빠질 수 있는 일인데도 국민 의사를 묻는 과정은 없었다. 에볼라가 공기를 통해 감염될 수 있다는 ‘유언비어’가 퍼지면서 불안감은 갈수록 확산됐지만 정부의 해명은 뒤늦게 이뤄졌다. ‘선(先)조치, 후(後)보고.’ 전형적인 막무가내식 행정이 이번에도 되풀이됐다. 국내 에볼라 환자 발생 시 치료가 가능하다는 정부 발표에도 국민은 의구심을 품고 있다. 막연한 불안감을 탓할 게 아니라 시간을 두고 정부가 적극적으로 불안을 해소하고, 믿을 만한 에볼라 치료 대책을 내놨어야 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따지고 보면 결국 정부가 히포크라테스 정신을 실천하고자 사지로 떠나는 10명의 의료진을 ‘얼굴 없는 죄인’으로 만든 셈이다.

hjlee@seoul.co.kr
2014-12-01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