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부산 감만부두 통합 운영사, 선석 1개 반납 요청

부산 감만부두 통합 운영사, 선석 1개 반납 요청

입력 2014-11-21 00:00
업데이트 2014-11-21 07: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물동량 줄고 고정 비용 높아 경영난 심각”

컨테이너 물동량 급감으로 어려움을 겪는 부산항 북항 컨테이너 터미널들의 ‘생존을 위한 모델’인 감만부두 통합운영사가 심각한 경영난을 이유로 선석 1개를 반납하겠다고 나섰다.

감만부두 통합운영사인 ‘부산국제터미널(BIT·Busan International Terminal)은 최근 부산항만공사에 ‘감만부두 1개 선석(3번) 반납 요청’ 공문을 보냈다.

BIT는 이 공문에서 “북항의 지속적인 물동량 감소와 경영수지 악화로 2013년 12월 1일 기존 감만부두 운영사 3곳이 통합, BIT를 운영해왔지만 북항과 신항 컨테이너 터미널들의 과당경쟁으로 BIT에 기항하던 일부 선대가 이탈하면서 물동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경영 악화를 개선하려고 희망퇴직과 정리해고를 시행, 인력 70여 명을 감축하는 자구책까지 썼지만 고정비 비중이 높아 누적 적자를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며 “현재 운영 중인 3개 선석 가운데 1개 선석을 반납하려고 하니 조치해달라”고 호소했다.

선석은 컨테이너 선박 등 화물선이 배를 대고 화물을 싣고 내리는 작업이 이뤄지는 공간이다.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가 선석을 반납하겠다고 나선 것은 화물이 줄어 더는 선석을 운영하기 어려워 사업규모를 줄일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BIT는 출범 8개월여 만인 올해 7월께 초기 자본금 258억원이 거의 바닥을 보일 정도로 경영 상황이 좋지 않다.

주주사인 세방, 인터지스, 한진해운도 유상증자에 부정적인데다 금융권 대출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BIT가 어려움을 겪는 것은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 실적이 부진하기 때문이다.

올해 목표치를 145만 개(약 6m짜리 컨테이너 기준)로 잡았지만 2차례 하향조정한 끝에 100만개 이하로 낮췄다.

부산항 북항에 기항하던 대형 선사들이 신항으로 옮겨가는 바람에 북항의 물동량이 절반 이하로 줄어든데다 하역료도 정상 수준(개당 6만원선)에 못 미치는 4만원대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해양수산부가 감만부두 운영사 통합을 서두르면서 운영사 통합 준비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것도 경영 악화의 한 요인으로 꼽힌다.

운영사 3곳이 인력 감축이나 임금 삭감 등 비용절감을 위한 작업을 제대로 하지 못해 인건비 같은 고정비용 비중이 높은 채로 운영사를 합치는 바람에 경영 악화를 부추겼다는 것이다.

감만부두 통합 운영사의 호소에도 부산항만공사는 선석 반납을 받아줄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항만공사 측은 “경영 악화를 이유로 선석 부분 반납 요청을 받아주면 부산항 운영에 큰 차질이 생긴다. 선석을 일부만 반납하겠다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 감만부두 운영사 통합 = 컨테이너선이 화물을 싣고 내리는 선석이 4개 있는 감만부두는 애초 운영사 4곳이 한 선석씩 따로 운영했다.

그러다 보니 부두운영 효율성이 떨어지고 한정된 컨테이너 물동량을 놓고 운영사들이 과당경쟁을 할 수밖에 없었다.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물동량이 줄어든 부산항 북항을 살리는 길은 운영사 간 과당경쟁을 줄여야 하고 그러려면 운영사를 통합해 줄여야 한다’는 논리로 이 부두의 운영사 4곳을 한 곳으로 통합하도록 유도했다.

운영사들은 처음에는 선석 통합에 부정적이었으나 지난해 10월 세방, 인터지스, 한진해운이 운영사 통합에 서명했다. 선석을 반납한 허치슨은 통합에 참여하지 않았다.

통합운영사는 1년간 부두 임대료 15% 감면받고 임대료 15% 납부 유예받고 부두운영 전산통합비용 등을 지원받기로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