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1t 고무오리 ‘러버덕’은 상업성과 무관, 한국 사람들 슬픔 치유… 행복 전하고파”

“1t 고무오리 ‘러버덕’은 상업성과 무관, 한국 사람들 슬픔 치유… 행복 전하고파”

입력 2014-10-22 00:00
업데이트 2014-10-22 05: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계적 공공미술작가 플로렌타인 호프만 내한 전시

“초대형 고무오리 ‘러버덕’에 쏠린 세간의 관심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성격의 것이죠. 흥미롭습니다. 사람들은 미디어와 연결된 (러버덕을) 때론 광고의 일부로 오해하지만 그렇지 않아요. 호수에 설치된 거대한 ‘러버덕’은 장난감이 아닌 설치미술품이죠. 주변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까지 작품의 일부로 포괄합니다. (애초부터) 상업적 활동과는 무관했어요.”

이미지 확대
공공미술작가 플로렌타인 호프만
공공미술작가 플로렌타인 호프만
이미지 확대
한국을 찾은 초대형 고무오리 ‘러버덕’. 지난 14일부터 서울 석촌호수에 전시 중인 러버덕을 보기 위해 일주일간 70만명이 넘는 인파가 몰렸다.  롯데갤러리 제공
한국을 찾은 초대형 고무오리 ‘러버덕’. 지난 14일부터 서울 석촌호수에 전시 중인 러버덕을 보기 위해 일주일간 70만명이 넘는 인파가 몰렸다.
롯데갤러리 제공
●새달 14일까지 석촌호수서 전시

21일 서울 송파구 신천동 롯데 에비뉴엘 월드타워점에서 만난 네덜란드 출신의 세계적 공공미술작가 플로렌타인 호프만(37)은 진지한 표정으로 질문에 답했다.

그는 2007년부터 높이 16.5m, 무게 1톤의 거대한 러버덕을 이끌고 세계 16개국에서 20회 이상 공공 전시를 이끌어 왔다. 한국에선 지난 14일 석촌호수에 처음 모습을 드러낸 뒤 무려 70만명의 관람객이 다녀갔다. 전시는 다음달 14일까지 이어진다.

“오늘 아침 호텔에서 커튼을 열었을 때 호수에 떠 있는 러버덕을 보고 무척 반가웠습니다. 어제 비바람이 몰아쳐 잠시 바람을 뺐는데 다시 멀쩡한 모습으로 주변 관람객을 맞고 있었어요.”

작가는 러버덕이 잠시 쓰러져 국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화제가 됐던 사실도 알고 있었다. “러버덕은 큰 돛단배와 같아 늘 기술적인 문제가 따르죠. 사람들이 러버덕이 쓰러진 걸 보고 슬퍼하는 모습을 보며 러버덕을 예술품으로 여긴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죠.”

한국을 찾은 이유에 대해선 “러버덕을 통해 사람들이 서로 공감대를 형성하고 함께 행복해하는 모습을 보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그는 우연이라면서도 “내 생일이 4월 16일이고 공교롭게도 한국에선 세월호 사고가 일어난 날”이라며 “이 작품이 슬픔을 치유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네 명의 아이를 둔 작가는 첫째와 둘째 아이가 지난 9년간 러버덕과 함께 노는 모습을 관찰해 왔다. 그리고 대량 생산된 장난감의 모습을 띤, 하지만 전혀 새로운 재료를 지닌 러버덕 생산에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전시 때마다 러버덕을 새롭게 제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석촌호수에 전시된 작품은 지난 4월부터 한국 기술자의 손을 거쳐 만들어진 것이다. “프로젝트가 지역적 맥락에서 이해되길 바라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작가는 이틀간 국내의 다른 장소를 돌며 다음 전시공간을 물색할 예정이다.

●마케팅 논란에도… “작가로서 만족”

러버덕을 둘러싼 국내의 논란에 대해서도 물었다. 제2롯데월드 개장과 석촌호수 전시가 겹치며 마케팅의 일환이란 비판도 적지 않다는 이야기다. 롯데는 이번 전시를 위해 모두 10억원을 후원했다고 밝혔다.

“러버덕이 한국에 올 때 두 곳의 후보지가 있었는데 석촌호수는 물결이 잔잔해 사고 위험성이 적었죠. 주변 빌딩과 잘 어울려 가장 적합한 공간으로 꼽혔습니다. 제2롯데월드 논란은 알고 있지만 러버덕은 전시 때마다 새로운 후원자가 필요합니다. 네덜란드에선 정부 지원을 받았으나 미국에선 개인 부호들, 홍콩에선 쇼핑몰들의 후원을 받았어요.”

그는 “제2롯데월드 개장이 오히려 더 많은 사람들이 러버덕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에 좋고 나쁨을 떠나 공공 공간을 새롭게 장식한다는 측면에선 작가로서 만족한다”며 “이런 후원 관계 때문에 작품 설치에 영향을 받은 적은 없다”고 강조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10-22 18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