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인한 로봇, 그보다 무서운 인간

주지하다시피, SF 장르의 대중적 요인은 상당 부분 스펙터클에 기인한다. 당대 최고의 기술이 총동원되는 SF 블록버스터의 시각 효과는 관객들을 완전히 새로운 세계로 순간이동시키는 마술적 기능을 담당해 왔다. 그러나 모든 SF 영화가 대규모의 자본으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며, 시청각적 장치들에만 집중하는 것도 아니다. 사실, SF 영화가 가진 매력의 원천은 인류의 미래에 대한 예언적 상상력에 있다.

디스토피아적 근미래를 배경으로 인공지능 로봇과 인간의 위태로운 공존을 보여주는 ‘오토마타’는 당장 SF 영화의 고전이 된 ‘블레이드 러너’(리들리 스콧, 1993)를 떠올리게 한다. 그러나 인류의 상황은 더욱 비관적이다. ‘오토마타’는 불과 30년 후의 지구를 방사능 오염으로 99.7%의 인류가 사라지고 극심한 사막화가 진행된 절망적인 공간으로 묘사한다. 어떤 색명(色名)으로도 표현하기 어려운 불투명한 대기가 암담한 시대를 대변하는 가운데 희망 없는 도시를 탈출하고픈 한 남자(잭 바칸)가 등장한다. 그는 범인류적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제작된 ‘오토마타 필그림 7000’의 보험회사 직원으로, 이 로봇들 중 일부가 “로봇 스스로 자신 혹은 다른 기계를 개조할 수 없다”는 원칙을 벗어나고 있음을 알게 되고, 그때부터 음모에 휘말려 쫓기는 신세가 된다.

이 영화의 기본적 테제는 인간과 동등해진 로봇의 존재에 있다. 높은 지능으로 스스로 진화할 뿐 아니라 인간의 감정까지 갖게 된 필그림들은 과연 인간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 영화는 초반부에 살려달라고 손을 들어 의사를 표현하는 로봇을 향해 인간이 거리낌 없이 총을 쏘는 장면을 보여준다. 흥미로운 사실은 감독이 관객들로 하여금 이것을 ‘잔인한 행위’로 느끼도록 연출하고 있다는 점이다. 더 나아가 필그림들은 수많은 부품들을 조립해 새로운 로봇을 생산해낸다. 그것은 명백하게도 인간과 지구의 종말로부터 자신들을 구원할 다음 세대의 상징적 의미를 내포한 로봇이다.

즉, ‘오토마타’는 인간과 로봇이 공생해야만 하는 어떤 미래를 상정하고 있다. 그러나 영화 안에서 위협적인 것은 로봇이 아니라 인간들이다. 인간들은 자신의 실수를 덮기 위해 다른 사람들을 함정에 빠뜨리고, 제어 불가능한 것들에 대한 공포심을 무차별적 파괴로 해결하려 한다. 이에 반해 로봇들은 그들의 결핍을 인정하고, 다만 나름의 ‘살 길’을 개척하고자 애쓰는 존재들일 뿐이다. 이 영화는 이렇듯 인간의 오만함과 어리석음을 로봇과 대비시켜 꼬집고 있다. 그러나 잭은 이 끔찍한 디스토피아 속에서도 가족들과 함께 자신이 어린 시절 뛰놀던 바다로 돌아갈 것을 꿈꾼다. 생명력으로 요동치는 바다에서 인류는 다시 미래를 얻을 수 있을까. 반복되는 영화 속 대사처럼, 죽으라는 법은 없으니 말이다. 15세 관람가. 23일 개봉.

윤성은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