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단독] 황우석에게 맡긴 ‘경찰견 복제’ 10억 프로젝트

[단독] 황우석에게 맡긴 ‘경찰견 복제’ 10억 프로젝트

입력 2014-09-22 00:00
업데이트 2014-09-22 03: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생각나눔] “복제 기술이 먼저” vs “연구 윤리가 우선”

경찰이 황우석(62) 전 서울대 교수가 이끄는 민간 연구기관에 ‘경찰견 복제 프로젝트’를 맡기기로 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견 복제 프로젝트는 정부 예산 10억원을 투입해 1년 내 최상급 외국 개의 체세포를 확보해 폭발물·마약탐지 및 수색 등에 활용하는 ‘특수목적견’ 40마리를 복제하는 사업이다. ‘과학사에 남을 최악의 사기극’의 장본인에게 정부 사업을 맡겨선 안 된다는 의견이 있는 반면 언제까지 과거에 얽매여 연구 능력을 사장시킬 것이냐는 반론도 나온다.

21일 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은 지난 18일 ‘고성능 특수목적견 복제 연구사업’ 제안서 평가위원회를 열고 단독 입찰한 수암생명공학연구원·충남대 컨소시엄에 ‘적격’ 판정을 내렸다. 경찰 관계자는 “응찰자가 한 곳뿐이고 심사위원들이 수암연구원에서 연구 성과를 낼 수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수암연구원은 황 전 교수가 2006년 서울대에서 파면된 뒤 지지자 후원금 등으로 설립한 곳이다. 경찰은 이달 초 조달청을 통해 진행한 프로젝트 입찰에 수암연구원만 응찰하자 규정상 재입찰했다.당초 경찰은 개과(科) 동물 복제기술을 가진 서울대 수의대도 관심이 있는 것으로 파악했지만 서울대는 나서지 않았다.

이병천 서울대 수의대 교수는 “경찰이 올 초 프로젝트 참여 의사를 묻기에 ‘과학적으로 볼 때 우리 기관이 1년 내 40마리를 생산할 수 있다고 단정하는 건 불가능하고 외국 특수견 체세포 확보 방안도 정확하지 않아 어렵다’고 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후 경찰로부터 연락은 없었고 입찰 개시 사실조차 몰랐다”고 덧붙였다.

한 체세포 복제 전문가는 “애완견 한 마리를 복제하는 데도 수개월씩 걸리는 데다 복제 효율이 달라 1년 내 경찰이 요구하는 수준을 달성하는 건 불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신문은 수암연구원 측에 여러 차례 연락했지만 “(연구능력 등에 대해) 대답해 줄 사람이 없다”며 답변하지 않았다.

연구윤리 논란도 불붙을 전망이다. 황 전 교수는 2006년 이후 “비윤리적·비양심적 행위를 한 연구자에게 기회를 줄 수 없다”는 이유로 보건복지부로부터 복제배아줄기세포 연구 등을 제한당한 바 있다.

경찰견 복제 사업 심사에 참여한 한 전문가는 “정해진 기간 내 복제견을 생산할 수 있는지가 평가 대상이었고 연구자의 윤리는 평가 항목이 아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덕환 서강대 교수(과학커뮤니케이션)는 “심각한 연구 윤리 문제를 저지른 학자에게 정부 예산 사업을 맡긴 것은 우려스러운 일”이라면서 “복제견이 체세포를 제공한 개와 같은 능력을 발휘한다는 것도 입증된 바 없다”고 말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4-09-22 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