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프로축구] 한국축구 새 사령탑 누가 되나…”유럽 출신으로 압축”

[프로축구] 한국축구 새 사령탑 누가 되나…”유럽 출신으로 압축”

입력 2014-08-01 00:00
업데이트 2014-08-01 10: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판마르베이크·산투스·카마초 등 후보군 유력’

‘이용수 체제’로 출범한 대한축구협회 기술위원회가 차기 사령탑 후보로 외국인 감독 3명을 선택한 가운데 윤곽에 대한 팬들의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한국 축구대표팀 새 사령탑으로 거론되고 있는 판마르베이크(62·네덜란드),  페르난두 산투스(60·포르투갈), 밀로반 라예바치(60·세르비아)
(사진 왼쪽부터) 한국 축구대표팀 새 사령탑으로 거론되고 있는 판마르베이크(62·네덜란드), 페르난두 산투스(60·포르투갈), 밀로반 라예바치(60·세르비아)


이용수 기술위원장은 31일 파주NFC(대표팀트레이닝센터)에서 1박2일로 치러진 첫 기술위원회 회의 결과를 발표하면서 “여러가지 요건을 구체화해 후보군을 꾸린 결과 3명의 외국인 감독을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모두 48명의 내·외국인 사령탑 후보군을 놓고 기술위는 ‘마라톤 회의’를 펼친 끝에 ▲ 대륙별 선수권대회 경험자 ▲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월드컵 예선 경험자 ▲ 월드컵 본선 16강 이상 성적 ▲ 클럽팀 지도 경력 ▲ 유소년 교육 프로그램 참여 가능자 ▲ 고령 감독 제외 ▲ 선수 지휘할 때 영어 사용 가능자 ▲ 즉시 계약 가능자 등 8가지 조건에 들어맞는 3명의 후보를 압축했다.

그렇다면 이들은 어떤 사람일까.

이에 대해 축구협회 내부 사정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기술위가 북중미나 남미 출신 사령탑은 조건을 충족시키기 어려운 만큼 유럽 출신 지도자를 뽑는 것으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안다”고 귀띔했다.

그는 “우리나라 대표급 선수들이 대부분 유럽에서 활동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 지도자들 역시 유럽에서 연수를 많이 받고 있다”며 “무엇보다 영어에 능통하고 유소년 교육 과정을 체계적으로 배운 유럽 출신 감독이 차기 사령탑을 맡는 게 유리하다는 게 기술위원들의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기술위가 내건 조건을 충족하는 유럽 출신 사령탑은 베르트 판마르베이크(62·네덜란드), 페르난두 산투스(60·포르투갈), 밀로반 라예바치(60·세르비아), 호세 안토니오 카마초(59·스페인) 등이 후보군으로 예측된다.

이중 국내 팬들에게도 익숙한 판마르베이크 감독은 2008∼2012년까지 네덜란드 대표팀을 맡아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에서 네덜란드를 결승전까지 이끈 명장으로 가장 유력한 차기 사령탑 후보로 손꼽힌다.

거스 히딩크 감독부터 시작된 ‘네덜란드 사령탑 커넥션’의 전통을 볼 때 기존 네덜란드 감독들과의 정보 공유도 쉽다는 게 장점이다.

페예노르트(네덜란드), 도르트문트(독일) 등 빅클럽을 지휘했던 판마르베이크 감독은 네덜란드 지휘봉을 놓고 나서 2013년 9월부터 함부르크(독일) 지휘봉을 잡았지만 성적 부진으로 143일 만에 그만둔 이후 현재 팀을 맡지 않고 있다.

월드컵 16강 이상 성적·클럽팀 경험·즉시 계약 가능 등 기술위가 내건 조건에 가장 잘 어울리는 후보다.

포르투갈 출신으로 이번 브라질 월드컵에서 그리스를 16강까지 이끈 산투스 감독도 눈여겨볼 만하다.

파나티나이코스, AEK 아테네(이상 그리스), 스포르팅 CP(포르투갈) 등의 명문 클럽을 이끈 산투스 감독은 그리스 프로리그에서 4차례나 올해의 감독에 뽑힐 정도로 지도력을 인정받았다.

2010년 오토 레하겔 감독의 후임으로 그리스 대표팀 지휘봉을 잡은 산투스 감독은 통산 49차례 A매치를 치르면서 26승17무6패의 준수한 성적을 거뒀고, 브라질 월드컵에서 ‘깜짝 16강’ 진출을 이끌었다.

이밖에 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 스페인 대표팀을 이끌고 8강 진출을 이끈 카마초 감독과 2010 남아공 월드컵에서 가나를 8강까지 올려놓았던 라예바치 감독도 후보군에 포함될 수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