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속절없이 시간 가는데’ 기상악화로 수색 난항

‘속절없이 시간 가는데’ 기상악화로 수색 난항

입력 2014-04-17 00:00
업데이트 2014-04-17 16: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객선 참사 사망 9명으로 증가, 실종자 수중수색 총력”살아다오” 가족 절규·분노…박 대통령 침몰현장 방문범정부 대책본부 구성…해경, 선장 등 소환 고강도 조사

가족과 국민의 간절한 소망에도 여객선 참사 사망자가 갈수록 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기상악화로 실종자 수색작업조차 차질을 빚으면서 가족과 국민을 더욱 비통하게 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사고 현장을 방문, 실종자를 찾기 위해 총력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민·관·군·경 수색작업 등을 점검하고 구조활동을 독려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는 침몰 만 하루가 지난 17일 오후 3시를 기준으로 전체 승선자 475명 가운데 9명이 사망하고 287명이 실종됐으며 179명이 구조됐다고 밝혔다.

탑승자 중에는 필리핀인 2명과 안산 단원고 학생인 러시아인 1명 등 외국인 3명이 포함돼 있다.

해군과 해경 등은 경비정과 군함, 민간 어선 등 169척, 헬기 29대를 포함해 동원 가능한 장비를 총 투입해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다.

또 해경(283명)·해군(229명)·소방(43명) 등 555명의 인력이 합동잠수팀을 구성해 수중 탐색에 나서는 등 입체수색을 진행 중이다.

침몰한 선체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작업도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수중에 펄이 많은데다가 강한 조류로 시야가 수십 ㎝에 불과하고 이날 오후 들어서는 기상악화로 작업이 한때 중단되는 등 수중수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침몰 여객선을 인양할 크레인은 16일 오후 3척이 출발해 18일 오전에 1척, 오후에 2척이 현장에 도착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이날 낮 사고 현장을 방문해 상황을 직접 점검했으며 정부도 목포 서해지방해양경찰청에 정홍원 국무총리를 본부장으로 한 범정부 대책본부를 설치, 사고 수습과 사후대책 마련에 나섰다. 정 총리는 대책본부 현장에 상주할 예정이다.

서해지방 해양경찰청, 중앙해양심판원, 국립과학수사연구소, 국립해양조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목포해양대, 한국해양대, 한국선급(KR)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합동조사위원회도 구성, 가동에 들어갔다.

정부는 진도 일대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사고 원인에 대한 조사도 강도 높게 진행되고 있다.

해경 수사본부는 여객선 세월호 선장 이준석(69)씨 등 승무원을 대상으로 이틀째 조사를 벌였다. 이씨는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를 받고 있다고 해경은 밝혔다.

해경은 선장 이씨가 승객보다 먼저 탈출했다는 일부 생존자들의 진술에 따라 이 부분에 대해서도 확인작업을 벌이고 있다.

해경은 여객선이 항로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뱃머리를 갑자기 돌리면서 무게 중심이 쏠려 침몰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둔 것으로 알려졌다.

비통함과 절규 속에 자녀 등이 살아 돌아오기만을 애타게 기다리는 실종자 가족들은 수색 중단과 차질 소식이 전해질 때마다 답답함을 호소하며 더 신속하고 적극적인 구조 및 수색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가족 임시 집결지 진도실내체육관에는 통신·음식 등 아픔을 함께하려는 외부 온정의 손길과 자원봉사자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미국과 중국 등 외국에서도 이번 사고에 대해 애도의 뜻을 표명하면서 잇따라 지원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전국 대부분 지역의 예비후보들이 선거운동을 잠정 중단하는 등 정치권도 사태수습에 초당적으로 가세했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정부에 최선을 다해 구조 작업에 임해 줄 것을 당부했고, 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 공동대표는 “더 안전한 사회를 만들지 못한 데 대해서 자책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지자체의 각종 축제와 각급 학교 수학여행, 스포츠 행사 등도 곳곳에서 취소되거나 축소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