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새마을운동은 농민층이 호응한 통치전략

새마을운동은 농민층이 호응한 통치전략

입력 2014-04-02 00:00
업데이트 2014-04-02 04: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성공회대 민주주의硏 학술서

“새마을운동은 한마디로 ‘잘살기 운동’이지만 소득증대의 성과는 사실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아울러 농촌 해체를 막는 데 실패했습니다.”(이용기 한국교원대 교수)

우리가 알고 있는 새마을운동의 실체는 무엇일까.

이미지 확대
1972년 9월 시원한 도로가 뚫린 대로변에서 주민들이 화초를 심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1972년 9월 시원한 도로가 뚫린 대로변에서 주민들이 화초를 심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이미지 확대
2010년 6월 경기도 새마을연수원에서 열린 새마을운동 제창 40주년 기념식에서 새마을지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2010년 6월 경기도 새마을연수원에서 열린 새마을운동 제창 40주년 기념식에서 새마을지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1970년대 일어난 새마을운동은 국민들에게 결정적인 사건으로 기억되고 있다. 농촌 근대화를 이뤘으며 우리가 잘살 수 있는 원동력이 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새마을운동을 둘러싼 학계의 평가는 극단적으로 엇갈린다. 한쪽 진영에선 국가의 강제적 농민 동원 운동이었다고 폄훼하고, 다른 진영에선 농민의 자발적 의지로 일어난 민족적 성취라고 찬양한다.

이런 이분법적 시도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 또한 최근 학계에서 일고 있다. 성공회대 민주주의연구소 박정희 시대 연구팀은 2008~2011년 3년간 박정희 시대와 새마을운동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벌여 ‘박정희 시대의 새마을운동’(한울아카데미)을 펴냈다. 연구팀은 연구를 위해 전국의 기관과 개인으로부터 무려 2만 144건의 자료를 수집하고 133건의 구술을 채록했다. 이렇게 아카이브(www.saemaul70.co.kr)를 구축하고, ‘제2의 새마을운동’ 주창과 세계화를 통해 주목받는 새마을운동에 대해 객관적 조명을 시도한다.

이현정 한국국제협력단 새마을운동 전문관은 ‘1970년대 새마을운동에서 마을공동체의 역동성 비교연구’를 통해 마을마다 다른 외적 환경과 내적 역량에 주목한다. ‘왜 어느 마을은 활발히 운동이 일어나고, 어느 마을은 그렇지 않았는지’에 대한 의문이 단초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의 두 마을 사례를 비교연구해 특유의 지리·사회·문화적 특성이 운동 과정에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그는 “기존 마을의 집단 참여가 활발할수록 개발 가능성이 높아지며 신뢰·호혜·규범 같은 인지적 사회 자본이 도움이 된다”고 규정했다.

이를 확장하면 같은 시기 주변국에서 벌어진 근대화운동인 농산어촌진흥운동(일본), 대약진운동(중국), 우자마운동(탄자니아) 등이 새마을운동과 달리 뒤안길로 사라진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이용기 한국교원대 교수는 “‘유신이념의 실천도장, 1970년대 새마을운동’에서 새마을운동의 목표가 정신계발, 소득증대, 환경개선의 세 가지로 집약되지만, 실질적으로는 ‘잘살기 운동’이 아니라 국가가 필요로 하는 ‘특정 주체’를 만들기 위한 통치전략이었다”고 강조한다. 다만 “농민층이 적잖이 호응했다는 역설적 이중성에 주목해야 한다”며 “위로부터의 힘과 아래로부터의 힘이 맞물리고 충돌하는 역동적인 장이었음을 말해 준다”고 말했다. 이런 이유에서 강제적인가 자발적인가, 성공인가 실패인가의 양자택일은 무의미하다는 것이다.

그는 통계자료를 활용, 이중곡가제와 통일벼 보급이 당시 농가경제 지표 호전의 실제 동력이었고 100명 중 1.3명에 불과하던 탈농촌 비율은 새마을운동 직후 3.7명까지 늘었다고 밝혔다. 일제시대 총독부가 강행한 농촌진흥운동이 방식이나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새마을운동과 닮은꼴이란 설명도 덧붙였다.

이 밖에 황병주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는 “새마을운동의 최종적 귀결은 농업·농촌의 몰락과 농업 생산과정 및 유통과정이 국가와 자본에 의해 강력하게 종속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최인이 충남대 교수는 “각 마을단위 사업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농촌 여성들이 근대적인 ‘시간’과 ‘이윤’에 대한 개념을 내면화하고 공고화했다”고 말했다.

책에는 모두 8편의 논문이 실렸다. 논문들에선 자아실천 운동으로 출발한 새마을운동이 경제·정치 운동으로 확장하고 변모하는 과정을 심도 있게 다룬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4-02 18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