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발한 생각은 어떻게 하냐고? 아이·천재처럼 맘껏 상상해봐

기발한 생각은 어떻게 하냐고? 아이·천재처럼 맘껏 상상해봐

입력 2014-01-25 00:00
업데이트 2014-01-25 01: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시대는 우리에게 새로운 눈과 창조적 사고를 요구하고 있다. 그런데 그게 잘되지 않는다. 생각 좀 해보려 하면 콱 막히고 아득해지기 일쑤다. 지식을 동원해 문제를 풀어내는 경우가 있지만 창의력과는 거리가 멀다. 우리가 창조적 생각을 못하는 진짜 이유는 무엇일까. 천재들의 창의적인 생각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일까. 생각을 좀 제대로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이미지 확대


‘메타 생각’(임영익 지음, 리콘미디어 펴냄)에 따르면 후천적 노력으로 천재들의 전유물인 ‘생각의 도약 기술’을 터득하면 창의적 발상은 누구에게나 가능하다.

책은 천재들의 발상법이나 창의적 사고의 비밀이 무엇이며 그런 창의적 사고를 어떻게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방법론을 알려준다. 다양한 수학적 사례를 통해서다. 수학이 추상적인 생각의 기술을 개념적으로 가장 잘 설명할 수 있고, 생각이 막히고 머리가 마비되는 현상이 수학에서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기 때문이라는 게 저자의 설명이다. 대학에서 생명과학을 전공한 현직 변호사인 저자는 영국 수학회 정회원이기도 하다.

우리가 어떤 문제를 보는 순간 그 문제의 형식이나 내용은 하나의 정보로 작용한다. 이것이 생각의 프레임을 만들기 때문에 생각은 그 틀에 따라 움직이게 된다. 이처럼 생각을 지배하는 구조 혹은 시스템, 즉 생각의 프레임에서 탈출하는 것이 바로 역발상이고, 관점의 전환이다. 이것을 시도하는 순간 생각이 자유롭게 흐르면서 뇌 근육은 튼튼해지고, 기발한 아이디어를 스스로 만들어 낼 수 있다. 저자는 “창의적 생각의 출발은 생각을 지배하는 틀 밖으로 빠져나와 ‘생각을 다시 생각해 보는 것’이고 생각의 이중 스캐닝이 바로 메타생각의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메타생각이란 생각을 생성하고 모으고 연결하고 통합하고 확장하고, 재구성하는 것을 도와주는 최상위의 생각이다. 이런 생각의 점화장치를 작동시켜 우리는 구조화된 상상과 생각에서 벗어나 더욱 자유롭게 갈 수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고등학교 1학년 때 수학을 그림처럼 그려보면서 ‘이미지를 이용하는 직관적 사고법’을 알게 됐다는 저자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뇌과학, 심리학, 인지과학, 수학을 모두 융합해 생각의 전환스위치인 메타생각의 개념을 완성했다. 이어 실전에서 생각의 확산을 시도하기 위해 생각의 기술도 8가지로 정리했다. 논리로 전개되는 것을 이미지로 보기, 차원을 확장하거나 축소하면서 생각 시스템을 변화시키기, 극단적인 경우를 상상하면서 본질을 찾아가기, 주어진 정보를 모두 분해해서 구성성분을 다시 생각하기, 관점을 이동시켜 보기, 사물들의 유사성이나 관련성을 찾아보기, 생각의 관점을 완전히 뒤집기, 사물이나 시스템을 변형시키기가 그것이다.
이미지 확대


‘생각의 경계’(김성호 지음, 한권의 책 펴냄)는 생각이 어떻게 지식으로 진화하는지 메커니즘에 주목하면서 창의적 사고의 생성 원리를 분석한 책이다.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수리과학과 교수인 저자는 최근 학생들의 독창적 수행능력이 예전보다 떨어지는 이유를 생각의 경계에서 찾았다. 생각은 지식에 기반을 두고 있고, 상상은 생각의 경계에서 발생한다. 생각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상상은 생각의 경계가 깨끗할수록 그 영역의 확장이 자유롭다. 이 논리를 따라가면 때묻지 않고 순수한 어린이들이 창의성 덩어리인 이유도, 천재들이 어린아이 같은 이유도 납득된다. 막힘없이 흐르는 사고의 유연성도 어린아이와 천재의 공통된 특징이다.

창의성이 넘치는 천재들은 그림을 그릴 때나 작곡에 몰두할 때, 우주의 원리를 찾는 여정에서 어린아이와 같은 환상 속에 있었다. 그들은 자기 분야의 전문지식을 어린이와 같은 자유로운 환상 속에서 재구성하는 사람들이다. 어린아이 같은 순수성을 지닌 천재는 아인슈타인이 대표적이다. 그는 우주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시공간 세계의 환상 속에서 물리적 원리와 놀이를 했다. 어린아이와 같은 궁금증을 자기의 환상 속으로 끌어들였다. “나에겐 특별한 재능이 없다. 단지 모든 것에 열렬한 호기심이 있을 뿐이다.” 아인슈타인의 말은 거짓이 아니다. 창의적 생각은 생각의 틀을 깨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그다음은 “왜 그럴까?”라고 질문을 던져보는 것이다. 실천은 바로 ‘당신’이 하는 것이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4-01-25 18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