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피부세포를 바로 혈관세포로 서울대병원 연구진 세계 첫 개발

피부세포를 바로 혈관세포로 서울대병원 연구진 세계 첫 개발

입력 2013-12-11 00:00
업데이트 2013-12-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효수·한정규 교수팀 심혈관질환 치료 전기 마련

중간 과정 없이 피부세포를 혈관세포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이 국내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심혈관질환 치료에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지 확대
김효수 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김효수 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김효수·한정규 교수팀은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피부세포를 바로 혈관내피세포로 이형(異形)분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피부세포를 혈관세포로 만들기 위해서는 역분화 줄기세포로 유도해 혈관내피세포로 분화시키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며, 노후 혈관을 되살리기 위해 배아줄기세포나 유도만능 줄기세포(역분화 줄기세포)로부터 혈관내피세포를 분화시키려는 연구가 있었으나 윤리적 문제와 종양 발생 가능성, 어려운 배양 조건 등 기술적 한계 때문에 별다른 진척을 보이지 못했다.

이런 점에 착안해 연구팀은 먼저 실험쥐의 피부에서 섬유모세포를 분리, 유전자 바이러스를 이용해 이를 과발현시켰다. 이 과정에서 연구팀은 섬유모세포가 과발현되면 이 중 일부에서 혈관내피세포에서만 나타나는 ‘타이2(Tie2) 수용체’가 발현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섬유모세포를 과발현시키기 위해 투여한 유전자 중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타이2 수용체 발현을 유도하는 유전자 조합도 찾아냈다. 이들 유전자가 과발현된 섬유모세포는 혈관내피세포와 유사한 형태로 변화했는데, 연구팀은 이를 ‘유도혈관내피세포’로 명명했다.

연구팀은 혈관을 차단해 허혈 상태를 유도한 실험쥐에게 각각 섬유모세포와 유도혈관내피세포를 주사한 결과 유도혈관내피세포 주입군이 섬유세포 주입군에 비해 혈류 회복이 2배나 많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는 주입된 유도혈관내피세포가 새로운 모세혈관을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3-12-11 2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