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고] 항암제 개발 패러다임 바뀌어야 한다/김정용 국립암센터 항암신약개발사업단 임상개발본부장

[기고] 항암제 개발 패러다임 바뀌어야 한다/김정용 국립암센터 항암신약개발사업단 임상개발본부장

입력 2013-12-09 00:00
업데이트 2013-12-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정용 국립암센터 항암신약개발사업단 임상개발본부장
김정용 국립암센터 항암신약개발사업단 임상개발본부장
현 정부의 정책 화두는 ‘창조경제’이다. 미래 산업의 하나로 부각되는 항암제 개발은 진입 장벽이 매우 높지만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산업이다. 하지만 대학이나 연구기관에서 연구자가 이룩한 기초연구 성과는 논문 발표로 끝나고 신약 개발로 이어지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오랜 시간 엄청난 투자를 해야 하기 때문에 이 간극을 채워 줄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

이런 가운데 국립암센터에 항암신약개발사업단이 생겨 그 역할을 할 수 있게 됐지만, 더 큰 지원이 필요하다. 현재 항암제를 개발하고 있는 국내 개발 주체들은 크게 두 가지 접근 방법을 추구하고 있다.

첫째, 완전히 새로운 표적을 찾아 정말 효과를 볼 새로운 약물을 개발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지만 많은 신규 표적과 이에 기반을 둔 후보 물질을 지속적으로 개발해야 한다는 전제가 있다. 우리의 상황에서는 이를 뒷받침할 기초연구 성과가 그다지 많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외국에서 물질을 도입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개발 모델을 채택한다 해도 신약 개발의 성공 확률상 많은 후보 물질을 개발해야 그중 한두 개가 성공할까 말까 한다.

둘째, 이미 처방되고 있는 항암제나 다국적 제약사가 앞서 개발하는 항암 신약을 바짝 쫓아가는 물질개발 전략을 들 수 있다. 국내 제약회사들이 일반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이 방식도 만만치 않은 개발비용이 소요된다. 기존 약물 대비 우수성에 대한 불확실성, 그리고 마케팅 측면에서 기존 약물로 항암제 시장을 선점한 다국적 제약사와의 경쟁 등을 감안하면 투자가치가 있겠는가 하는 점에서 회의적이다.

그러나 필자는 기초과학자들이 실험실에서 발견한 신규 표적을 바탕으로 신약을 전통적인 개발 모델에 따라 순차적으로 개발해 가는 상향식 이외 또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항암제를 환자들에게 직접 처방하고 관찰하는 현장 임상의들이 기초과학자들과 함께 신약 개발을 하는 하향식 개발 방식이 필요하다.

기초과학자들이 쉽게 확보하기 어려운 임상자료 및 정보를 임상의를 통해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환자 조직에도 쉽게 접근할 수 있어 기초연구 결과를 검증해 볼 수 있다. 효과가 확실하지 않은 여러 암종에 대한 무작정적인 탐색이나 임상시험을 피할 수 있어 개발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이는 임상시험 단계에서 실패 가능성의 현격한 감소로 연결될 수 있다.

최근 전립선암 치료제로 개발돼 수십억 달러의 매출이 예상되는 신약 엑스탄디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항암제는 미국 뉴욕의 유명 암센터 전문의 찰스 소여 박사가 1차 호르몬 치료제 처방 후 재발한 전립선암 환자들 중 일부가 불완전 안드로젠 수용체 차단제 약물에 반응하는 것을 관찰한 결과에 바탕을 두고 있다.

신약 개발에 관심을 갖고 있는 임상의, 임상 자문이 아쉬운 대학 기초연구자, 그리고 신약 개발이 절실한 제약회사 등이 공동 연구를 추진할 수 있는 시스템의 활성화가 절실하다. 시스템 통합적 항암신약개발사업을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기반구축 사업으로 지원한다면, 국내에서 글로벌 항암신약 개발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2013-12-09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