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연해주 한인 이주 美이민보다 39년 앞서”

“연해주 한인 이주 美이민보다 39년 앞서”

입력 2013-11-05 00:00
업데이트 2013-11-05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첫 국외이주 150돌 8일 학술회의

러시아를 비롯한 독립국가연합에 살고 있는 한국인 교포는 스스로를 고려인(카레이스키)이라고 부른다. 한인이 러시아 연해주로 처음 이주한 것은 1863년. 이는 사탕수수 농장의 계약노동자로 태평양을 건넌 하와이 이민(1902년)보다 39년이나 앞선 것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국외이주이다.

동북아역사재단(이사장 김학준)은 러시아 연해주 한인이주 150년을 맞아 오는 8일 동북아역사재단 회의실에서 ‘근대 동아시아 국경형성과 연해주 한인이주’를 주제로 학술회의를 연다.

올초 ‘유라시아 고려인-디아스포라의 아픈 역사 150년’을 펴낸 원로 언론인 김호준씨가 기조강연을 하고, 최덕규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원과 김원수 서울교육대 교수가 ‘근대 한인의 이주와 국제관계’에 대해 주제발표를 한다. 이어 ‘한반도 북방국경의 형성과 러시아’, ‘한·러 관계의 수립과 러시아연해주 한인이주’ 등에 대해서도 발표와 토론이 진행된다.

김호준씨는 미리 배포한 기조강연문에서 “고려인의 연해주 이주 원년을 둘러싸고 1863년을 비롯해 1864년, 1858년 등 몇가지 설이 있다”면서 “이번 학술회의는 1863년이 역사적 사실과 일치하는 정론임을 학술적으로, 국가적으로 공인하는 뜻깊은 자리”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1863년 최초 이주론’은 함경도 국경지방의 조선인 농민 13가구가 두만강을 건너 몰래 남부 연해주의 지신허강 유역에 정착했다는 것으로, 시베리아 출신의 역사학자인 BI 비긴이 1875년 출간한 ‘아무르의 한인들’에서 처음 언급했다.

이순녀 기자 coral@seoul.co.kr

2013-11-05 2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