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울광장] 리더십 갈등과 해소, ‘마지막 4중주’의 경우/서동철 논설위원

[서울광장] 리더십 갈등과 해소, ‘마지막 4중주’의 경우/서동철 논설위원

입력 2013-09-04 00:00
업데이트 2013-09-04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논설위원
서양 클래식 음악은 베토벤과 슈베르트에서 시작해 베토벤과 슈베르트에서 끝난다는 말을 오래전부터 들었다. 베토벤의 ‘운명’이나 슈베르트의 ‘미완성’ 교향곡 같은 것들이 워낙 불후의 명곡이어서 세상 사람들이 그렇게 말하는가 했다. 그런데 그동안 이런저런 작곡가의 음악을 들어봤지만, 조금씩 나이를 먹어갈수록 신기하게도 베토벤과 슈베르트의 음악을 더욱 즐기게 된다.

물론 지금도 ‘운명’이나 ‘미완성’이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면 볼륨을 한껏 높인다. 하지만 다시 베토벤과 슈베르트를 찾는 이유는, 겉보기에는 조촐하지만 내용은 결코 조촐하지 않은 만년의 작품 몇 개 때문인 것 같다. 흔히 후기(late)라는 수식어가 붙는 베토벤의 현악4중주와 피아노 소나타 몇 개가 여기에 해당한다. 31세에 세상을 떠났으니 ‘만년’이라는 표현 자체가 어울리지 않지만, 어쨌든 슈베르트가 죽기 직전 남긴 피아노 소나타 몇 개가 또한 그렇다.

며칠 전 ‘마지막 4중주’라는 미국 영화를 봤다. 벌써부터 봐야겠다고 마음 먹었지만, 미적거리다 극장에서 곧 내릴 것이라는 소식을 듣고서야 찾아간 것이다. ‘마지막 4중주’는 이를 국내로 들여오며 다듬어 붙인 제목으로, 원제가 ‘A late quartet’이니 느낌은 조금 달랐다. 사람에 초점을 맞춘 마지막 4중주가 아니라 특정 작품 한 곡을 부각시킨 제목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영화의 기둥이라고 할 수 있는 음악이 바로 베토벤의 후기 작품인 현악4중주곡 14번이다.

영화가 끝나고 불이 켜진 직후의 느낌은 한마디로 ‘베토벤의 후기 현악4중주곡이 주는 즐거움을 세상 사람들과 공유하겠다고 온갖 이야기를 꾸며댔군!’이었다. 짐작한 대로, 메가폰을 잡은 야론 질버맨 감독이 특별히 좋아하는 곡이라고 했다. 극중 연주 단체의 이름을 ‘푸가 현악4중주단’(The fugue string quartet)으로 지은 것도 이 곡의 1악장이 오래된 음악 구조의 한 형태인 푸가로 만들어졌기 때문일 것이다.

관람객들은 엔딩 크레디트가 한없이 내려가는 동안에도 대부분 자리에서 일어서지 못했는데, 스피커에서는 여전히 현악4중주 14번이 클라이맥스를 향해 치닫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어쨌든 이 영화를 본 사람이라면 클래식 음악에 특별한 관심이 없어도 왜 서양음악이 베토벤에서 시작하고 끝난다고 하는지 조금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질버맨 감독이 처음부터 의도했을지도 모를 ‘세뇌’의 결과이다.

영화의 큰 줄거리는 4중주단 멤버 중 세 사람의 스승이기도 한 노장 첼리스트가 파킨슨병에 걸리는 바람에 은퇴 연주회를 갖고 새로운 멤버를 영입해 새출발한다는 것이니 밋밋하기 그지없다. 그래서 파국이 불가피해 보이는 몇 개의 갈등 구조를 만들어 화해를 상징하는 마지막 연주회를 더욱 감동적으로 만들겠다고 의도했던 것 같다. 갈등은 서로 얽히고 설켜 있는데, 누군가 ‘고상한 막장 드라마’라고 이 영화를 평한 것을 보면 분위기는 대충 짐작이 갈 것이다.

관람객을 불안하게 만드는 최대의 갈등은 제2 바이올린 주자의 제1 바이올린 주자에 대한 도전이다. 오랫동안 리더의 영예를 누렸으니, 그 역할을 좀 바꾸어 보자는 것이다. 두 남자의 알력은 음악적 갈등은커녕 인간적 갈등이라고도 할 수 없는 동물적인 갈등이다.

음악가라는 특성을 지워 버리면 현악4중주단은 네 사람에 불과한 소집단이다. 우리들도 예외 없이 이런 작은 사회에서 부대끼고 산다. 푸가 4중주단의 갈등은 해소되지만, 갈등을 풀어가는 과정을 친절하게 보여주지는 않는다. ‘동물적’인 ‘막장’ 갈등이었다는 점에서 해피엔딩은 쉽지 않았을 것이다. 갈등 해소의 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은 관람객의 몫이다. 개인적으로는 푸가 4중주단의 리더가 결국에는 포용력을 발휘했고, 도전자는 리더의 실력을 인정한 결과가 아닐까 한다. 세상의 모든 리더십 갈등, 역시 이것이 최선의 해결책이라고 믿는다.

dcsuh@seoul.co.kr

2013-09-04 3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